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24일 금융사고 예방과 내부통제 혁신을 위해 금융사고 패턴을 분석해 이상징후를 탐지하는 ‘이상징후 검사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이상거래에 대한 사전 탐지 시스템을 구축해 올해부터 시행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도입으로 우리은행은 국내 은행권 최초로 시나리오 기반 부정거래 검사시스템을 현업에 적용하게 됐다.
이 시스템은 대량의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대출 시 연소득 허위 입력 △허위 자금용도 증빙자료 제출 △고객 모르게 정기예금 해지 후 편취 등 기존 금융사고 사례와 취약 유형을 식별한다. 또한, 영업점 업무 마감 이후 발생하는 특정 이상거래 징후를 탐지해 동일 유형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상거래가 발생하면 검사시스템이 이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담당 검사역에게 즉시 알림과 자료를 전달해 신속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영업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우리은행은 이번 시스템 도입을 위해 △금융사고 패턴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내부통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모니터링 시각화 대시보드 개발을 완료했다. 이를 기반으로 고위험 시나리오별 최신 데이터를 추출해 검사에 활용하는 내부통제 프로세스를 마련했다.
이번 FDS 도입은 우리은행의 통합 내부통제 체계 구축을 위한 초기 단계로, 향후 AI 기반 통합 시스템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금융사고 패턴 기반 FDS는 개별 거래 단위로는 탐지하기 어려운 이상거래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부정행위 사전 탐지와 금융사고 모니터링을 강화해 내부통제에 더욱 철저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