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SK오션플랜트, “해상풍력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 환영”

“공급망 발전,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원 확보 기대”

  •  

cnbnews 김응구⁄ 2025.03.04 15:08:56

SK오션플랜트 야드에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을 제작하고 있다. 사진=SK오션플랜트
 

SK오션플랜트가 〈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해상풍력특별법)과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환영 입장을 밝혔다.

4일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발전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원 확보 방안임과 동시에 국내 우수 공급망 기업들이 동반 성장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기업으로서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작의 핵심 기자재인 후육강관을 지난 1999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고, 2012년 국내에선 처음으로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지지장치’ 특허를 취득했다. 이후 2020년 국내 최초로 하부구조물을 수출(대만 창화 해상풍력단지)한 이래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어왔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고정식 하부구조물을 제작, 지난해 상반기부터 현재까지 순차적으로 고객사에 인도하고 있다. 대만 ‘하이롱(Hai-Long) 프로젝트’에 공급된 해당 구조물은 현재까지 대만 해상풍력단지에 설치된 하부구조물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다. 구조물 1기당 최대 높이는 아파트 30층 높이인 94m에 이르며, 무게는 A380 항공기의 8배인 2200t(톤)에 달한다. 1기에 14㎿(메가와트)급 해상풍력 터빈을 설치할 수 있다.

SK오션플랜트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하부구조물을 생산한 기업이다. 특히, 대만의 재생에너지 보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만의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한 하부구조물은 190여 기, 발전용량 기준 약 2GW(기가와트) 규모다. 이는 원전 2기의 발전용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해상풍력발전은 통상 발전용량 10㎿당 1만 가구에 공급하는 전력을 생산(일반 가구 월평균 전력사용량 300㎾h 가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3년 기준 대만의 가구 수는 924만으로, SK오션플랜트는 이의 20%가 넘는 200만여 가구가 사용하는 해상풍력발전단지용 하부구조물을 공급한 것이다.

SK오션플랜트는 기존 주력 시장인 대만은 물론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시장의 확장에 대응해 경남 고성군 동해면 일원에 157만㎡ 규모의 해상풍력 구조물(고정식·부유식·해상변전소 등) 특화 생산기지를 조성 중이다. 93만㎡ 규모의 기존 공장(1·2야드)에 신규 생산기지 면적까지 합치면 총 250만㎡로, 서울 여의도 면적에 육박한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기지로는 세계 최대 수준이다.

SK오션플랜트는 우수한 품질과 안전관리 능력, 제작·납기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고정식은 물론 부유식 시장에서도 글로벌 톱티어의 지위를 확고히 한다는 구상이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

관련태그
SK오션플랜트  해상풍력특별법  전력망특별법  하이롱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