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ACR) 기술 실증에 나선다. 주차만 하면 로봇이 알아서 충전하는 미래형 서비스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선도하겠다는 것.
현대차·기아는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사장과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기술 검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현대차·기아는 국내 최대 규모 친환경차 인프라를 갖춘 인천국제공항에서 공항 환경에 최적화된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인천공항은 업무용 차량을 모두 친환경차로 전환했으며,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확보할 예정이어서 자동 충전 로봇 활용에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인천국제공항의 운영 환경에 맞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발굴·적용할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업무용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로봇을 실제 운영하며 사용성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향후 항만,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에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현대차·기아 양희원 사장은 “이번 협약은 로봇 및 AI 기술력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운영 경험이 융합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실질적 효용을 검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를 구축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와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선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의 여객 서비스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공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은 외팔형 로봇으로 3D 카메라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충전기를 체결한다. 이 로봇은 2024년 서울 성수동 ‘팩토리얼 성수’와 ‘제주 새빌 E-pit 충전소’ 등에서 실증을 거쳤으며, 국내 KC 인증과 유럽 CE 인증을 모두 획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