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은 한국예탁결제원이 주관한 토큰증권(Security Token)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실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10월부터 약 8개월간 진행됐으며, 신한투자증권은 기술적·운영적 핵심 기능에 대한 검증을 마쳤다.
이번 테스트베드는 토큰증권 제도 도입 전 거래 인프라의 안정성과 실효성을 검증하는 사전 준비 작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분산원장을 활용해 거래 정보를 수집·기록하고 전자등록기관의 총량관리 기능을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프로젝트 펄스(PULSE)’로 명명된 분산원장 인프라는 신한투자증권, SK증권, LS증권이 노드로 참여해 원장의 무결성과 참여 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했다. 기술 파트너로는 블록체인글로벌이 참여해 시스템 구축과 안정성 확보를 지원했다.
신한투자증권 측은 “국내 유일하게 복수의 증권사가 공동 참여한 분산원장 기반 실증 모델”이라며, “참여사 모두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이력을 보유한 만큼, 향후 STO 제도화가 본격화되면 시장 주도권 확보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 STO 시장의 사례처럼 초기 제도화 단계에서 인프라 운영사가 시장 표준을 선점한 바 있어, 국내에서도 주요 증권사의 초기 참여가 향후 발행 및 유통 생태계 지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