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28일, 2025년 경영환경 속에서 건전성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부동산·건설경기 회복 지연과 가계대출 규제 등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 대규모 부실채권 매각과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에 따라 일정 수준의 손실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다양한 건전성 제고 조치와 지속적인 경영혁신 노력이 이어진다면 내년부터는 건전성 지표가 개선되고 손실 규모가 축소되는 등 실적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PF 문제 해소에 집중해 금융당국의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대상 사업장에 대해 보수적이고 엄격한 심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자산건전성 재분류와 대손충당금 적립, 경·공매 및 재구조화를 통해 부실 사업장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는 올해 상반기에는 총 3.8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해 잠재적 불안 요인을 상당 부분 제거하고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상반기 약 2조원 매각 대비 90% 증가한 규모다. 또한 손실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캠코·유암코·자산유동화 등 다양한 매각 채널을 발굴해 연체 관리 방식을 다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9월 5,000억원 규모로 조성한 ‘유암코-MG PF정상화 펀드’는 현재 누적 투자 약정액이 1,800억원에 달하며, 재구조화를 통한 부실PF 사업장 정상화에 활용되고 있다. 더불어 새마을금고는 지난 7월 공식 출범한 ‘새마을금고자산관리회사(MG AMCO)’를 통해 하반기부터 체계적인 부실채권 정리에 나설 계획이다. MG AMCO는 매각 중심의 기존 방식에서 나아가 추심 기능까지 포함한 종합적 채권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지난 7월 개통한 ‘새마을금고 NPL 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경·공매 진행 중인 PF 사업장 정보를 실시간 공개하고 잠재적 매수자를 확보해 매각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금융감독원의 ‘PF 정보공개 플랫폼’을 벤치마킹해 마련된 새마을금고 전용 시스템이다.
아울러 현재 전국 100여 개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행정안전부가 실시 중인 특별점검(7~9월)에 적극 협조하고 있으며, 내부통제 강화 및 금융사고 근절을 위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는 등 고객 신뢰 회복에 나서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건전성 관리 강화 속에서도 서민금융 기능을 위축시키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소상공인과 중저신용자 대상 정책자금 대출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지역사회 기여 활동과 포용금융을 강화해 서민중심 금융기관의 정체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은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과 PF 사업장 정리로 향후 1~2년간 어려운 환경이 예상되지만,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체질 개선과 건전성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며 “손실 규모 축소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전례 없는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