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일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첫 전용 PBV 모델인 ‘PV5’를 앞세워 EV 밴 시장 진입을 선언했다.
기아는 29일(현지시각) 도쿄 빅사이트(Tokyo Big Sight)에서 열린 ‘2025 재팬 모빌리티쇼(Japan Mobility Show 2025)’에서 PV5를 현지 최초로 공개하고, 2026년 상반기부터 일본 시장에서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진출은 일본 정부의 ‘2030년까지 신차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급성장 중인 EV 밴 수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행보다. 기아는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 사업을 중심으로 일본을 비롯해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판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아는 지난해 일본의 유력 종합상사인 소지츠(Sojitz)와 협약을 맺고 현지 합작법인 ‘기아 PBV 재팬’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현지 유통망을 기반으로 ‘판매–서비스–운영’ 전반의 안정적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2026년 첫해에는 딜러 8곳과 서비스센터 100곳을 확보하고 이후 전국적으로 네트워크를 확대할 예정이다.
김상대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 부사장은 “이번 일본 진출은 단순한 신차 판매를 넘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일본 사회에 제안한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현지 파트너십을 활용해 PBV 사업의 조기 안정화를 이루고, 일본 사회의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신뢰받는 브랜드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PV5는 일본의 좁은 도로 환경과 다양한 비즈니스 수요에 최적화된 모델로, 전용 플랫폼 ‘E-GMP.S’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71.2kWh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377km(국내 기준) 주행이 가능하며, 350kW급 급속 충전기로 10%~80% 충전에 약 30분이 걸린다.
‘플렉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적용해 차체·도어·테일게이트 등을 모듈화했으며, 최대 16가지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해 고객은 물류, 이동 서비스, 캠핑 등 목적에 맞게 차량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PV5는 V2L(Vehicle to Load), V2H(Vehicle to Home) 기능을 갖춰 재난 시 응급 전력 공급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4,695mm 길이와 1,895mm 전폭, 5.5m 회전반경으로 일본의 좁은 골목길에서도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기아는 내년 일본 시장에 PV5 패신저와 카고 모델을 먼저 선보이고, 이후 교통약자 이동 지원용 PV5 WAV와 후속 모델 PV7까지 출시해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기아는 ‘공간을 자유롭게, 비즈니스를 자유자재로’라는 주제로 전시관을 꾸몄다.
현장에는 ▲승객용 PV5 패신저 ▲화물용 PV5 카고 ▲교통약자용 PV5 WAV ▲LG전자와 협업한 캠핑 콘셉트카 ‘PV5 슈필라움 글로우캐빈(Spielraum Glow Cabin)’ 등 총 4종의 모델이 전시됐다.
PV5 패신저는 399mm의 낮은 스텝고와 775mm의 넓은 출입구로 편안한 승하차를 지원하며, 실내·외 V2L 기능으로 캠핑 등 야외활동에 적합하다. PV5 카고는 넓은 적재공간과 다양한 수납구조, 12.9인치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차량 상태를 실시간 관리할 수 있다.
PV5 WAV는 휠체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설계돼 고령화가 빠른 일본 시장에서 높은 수요가 기대된다.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은 냉장고, 오븐, 와인셀러 등을 탑재해 PBV의 생활 확장성을 보여준다.
기아는 전시장 내 별도 공간을 통해 ▲브랜드 철학 ▲부착형 액세서리 플랫폼 ‘기아 애드기어(Add Gear)’ ▲10가지 지속가능 소재 등을 함께 전시하며 PBV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