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30일 실적설명회를 열고 올 3분기 매출 5조6999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1% 감소했고 전(前) 분기보다는 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34.1%, 전 분기 대비 22.2% 각각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북미 생산 보조금은 3655억원이다. 이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2358억원이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9월 말 미국 전기차(EV)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했으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큰 폭 매출 성장과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하며 전 분기 대비 2.4%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손익의 경우 ESS와 소형 사업 출하량 증가, 전사 차원의 비용 절감 노력 등이 반영돼 북미 생산 보조금 감소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도 올 3분기 신규 수주와 운영·기술·공급망 면에서 다양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먼저, ESS전지사업부는 미국 내 탈중국 기조와 현지 LFP(리튬·인산·철) 제품 생산 역량 등을 바탕으로 3분기에 미국 주택용 ESS 기업과 6년간 총 13GWh(기가와트시)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다수의 전력망 ESS 고객들과도 대규모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ESS 사업 수주잔고는 120GWh이며, 이는 전 분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EV 사업은 원통형 46시리즈에서 최근 100GWh 이상의 배터리 수주 계약을 체결하는 등 올해 160GWh 이상의 수주를 확보, 원통형 46시리즈에서만 총 300GWh 이상의 수주잔고를 기록했다.
운영·기술·공급망 면에서도 성과가 이어졌다.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넥스트스타 에너지의 경우 셀 양산 준비를 마치며 북미 시장 대응력을 강화했다. 이 공장에선 급성장 중인 북미 수요 대응을 위해 ESS 제품 생산 전환을 검토 중이다.
기술 측면에선 카이스트 연구팀과 함께 리튬메탈전지의 충전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공급망 측면에선 미국 내 LFP 셀 생산에 필요한 탄산리튬을 최대 4만t(톤) 규모로 확보하며 원재료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실적설명회에서 EV·ESS 시장별 산업 동향에 대한 전망도 밝혔다.
우선, EV 시장은 지역별로 다른 수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소비 심리 약화와 트럼프 정부의 친환경 정책 완화 기조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전동화 속도를 늦추고 내연기관·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를 확대함에 따라 향후 북미 전기차 침투율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유럽은 탄소배출 규제 유지와 주요국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 재개로 비교적 안정적인 판매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ESS 수요는 기존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40~50%를 보유한 미국에선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로 전력망용 ESS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 청정에너지 투자 세액공제(48E)가 유지되면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2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역시 신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와 에너지 안보 강화 기조 속에 ESS 증대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제품·시장 전략 △운영 효율화를 핵심으로 한 사업별 추진 전략도 밝혔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CEO(최고경영자)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축적된 제품·기술 경쟁력과 체질 개선 노력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했다”며 “앞으로도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객가치 실현과 미래 성장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