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데스크 칼럼]‘왕차관’ 박영준에 대한 본격 수사는 지금부터다

  •  

cnbnews 제274호 심원섭⁄ 2012.05.14 11:41:58

‘왕 차관’ ‘왕의 남자’라 불리며 현 정권의 실세 중 실세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해 왔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결국은 7일 밤 구속됐다. 박 전 차관이 받고 있는 혐의는 알선수재로 지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 양재동 복합유통단지 시행사인 파이시티의 이정배 전 대표 측으로부터 인허가 청탁과 함께 1억7천만 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거론되는 박 전 차관의 비리 의혹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영장에 적시돼 있는 그의 혐의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박 전 차관이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사건 외에도 10여 건에 달하는 또 다른 청탁의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검찰 수사는 박 전 차관의 비자금이나 불법 정치자금 조성 쪽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9일 사정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검찰은 최근 박 전 차관의 비자금을 관리하고 그의 ‘돈세탁’을 도운 의혹을 받고 있는 이동조(59) 제이엔테크 회장의 계좌 추적 과정에서 수천만 원 단위의 뭉칫돈이 총 6차례에 걸쳐 모두 다른 사람 명의의 수표로 입금된 사실을 확인했다. 검찰은 입금자 6명을 불러 조사한 결과 각각 사업 청탁 명목으로 박 전 차관에게 돈을 줬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이 회장이 중국에서 귀국하는 대로 조사할 방침이라고 한다. 이와 함께 검찰은 박 전 차관이 2007년 5월 서울 용산구 주택을 매입하는 과정에 사용한 돈의 출처를 확인 중이다. 박 전 차관은 2008년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재직 당시 재산공개를 하며 “형에게 3억 원을 빌렸다”고 주장했지만, 검찰은 박 전 차관이 불법 자금을 형에게 맡겨뒀다가 돌려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박 전 차관 형의 계좌에는 2007년부터 수시로 거액이 입금됐고 그 규모는 10억 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검찰은 이 돈의 출처와 성격 등을 조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박 전 차관은 이미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과 관련해 불법사찰 결과를 수시로 보고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 그가 CNK 주가 조작사건에도 연루됐다거나 포스코 회장 선임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얘기도 나왔다. 박 전 차관은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보좌관으로 11년을 근무한 인연으로 이명박 대선 캠프인 ‘선진국민연대’를 맡아 운영한 뒤, 대통령실 기획조정비서관, 지식경제부 차관 등을 역임하면서 ‘왕 차관’이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해왔다. 이처럼 이 대통령 형제와의 깊은 인연 때문에 그의 구속이 갖는 상징성은 간과할 수 없다. 비리 혐의로 인한 그의 구속은 개인의 비극이 아니라 그를 중용한 이명박 정부의 비극이기도 하다. 먼저 구속된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도 마찬가지이지만 권력실세이면 그에 걸맞은 처신을 했어야 한다. 사실 박 전 차관 등 이른바 ‘영포라인’의 권력 사유화 우려는 정권초기부터 제기됐던 문제다.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8일 박 전 차관의 구속과 관련해 “4년 전부터 일종의 112 신고를 했고 여러 차례 경고를 하고 언질을 줬는데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찰은 박 전 차관에 대한 의혹들을 낱낱이 파헤치기 바란다. 하나의 사건만 갖고 그의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를 끝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박 전 차관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는 지금부터다. - 심원섭 정치전문 대기자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