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주⁄ 2022.03.07 11:56:16
지난 5일 코로나19 확진자·격리자를 대상으로 대선 사전 투표가 진행됐지만 선관위의 미흡한 사전 준비와 안내로 많은 투표자들이 불만을 표했다.
사전 투표 둘째날인 지난 5일에는 오후 5시부터 1시간 동안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의 대선 사전 투표가 열렸다. 이때 불량 투표 용지가 배포되고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다양한 혼선이 발생했다.
사전에 고지된 확진자 및 격리자 사전 투표 방법에서는 투표 용지를 투표자가 직접 투표함에 넣지 않고 투표 사무원에게 제출하는 방식으로 안내됐다.
실제로 어떤 지역은 투표지 봉투를 목욕 바구니에 넣었다, 또 다른 지역은 쇼핑백에 넣었다, A4용지 박스에 넣었다, 기표소 뒷 부분이 뚫려 있다는 등 투표자들의 후기가 나왔다.
네티즌들은 각종 커뮤니티에 확진자 투표함 사진을 공개하며 사전투표 방식에 대해 다양한 비판을 쏟아냈다.
진행 위원들이 투표지 봉투가 담긴 허술한 박스를 옮기는 모습이 찍히면서 위태로워 보인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선거 위원이 투표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야외에 10분 이상 방치됐다는 후기도 나오면서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또 다른 문제는 환자인 확진자들을 야외에서 추위에 떨며 3~40분씩 대기하게 했다는 점이다. 한 곳에서 확진자 임시 기표소를 하나만 만들어 1명 투표하는 데만 10분이 지체되기도 했다. 지나친 대기 시간에 확진자들끼리 싸움이 붙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투표를 해도 되나?”, “ 아파 죽겠는데 추운데 서서 기다리느라 증상이 더 악화됐다”, “2022년에 이게 무슨 일이람?” 등 비판을 이었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한 유권자는 사망자로 등록돼 있어 투표를 못 한 경우도 있었다. 지난 6일 인천시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날인 오후 인천시 중구 동인천동 행정 복지 센터 사전 투표소에서는 투표 사무원 실수로 코로나19 확진자 6명의 투표지가 폐기된 사례도 발생했다.
해당 투표소는 1층에 임시 기표소가 있었고, 4층에 본 투표장이 있어 확진자들은 1층에서 투표를 마친 다음 사무원들이 투표지를 모아 4층으로 가져갔다. 이때 확진자 6명 중 1명은 관외 투표자, 5명은 관내 투표자였으나 사무원들이 이들 투표지를 모두 ‘관내자용 봉투’에 넣어 가져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선관위는 관내자와 관외자 투표지를 구분할 수 없게 돼 폐기 처분한 뒤 다시 투표하도록 조치했다.
확진자 사전 투표소뿐 아니라 수원 광교 신도시 광교2동 행정 복지 센터 4층에 마련된 사전 투표소에서는 투표 용지 1장이 분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투표 용지가 잔여 용지인지 기표 용지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영통구선거관리위원회는 사전 투표가 마감된 이후 관할 우체국으로 투표함을 인계한 뒤 개함까지 하고 나서야 분실 사실을 파악했다.
코로나19 확진자·격리자뿐 아니라 위태롭게 진행된 사전 투표 사례가 속출하자 선관위는 도마에 올랐고, 유권자들 사이에선 선관위의 허술한 진행 방식과 대처에 대해 부정 선거 의혹까지 제기됐다.
선관위는 해당 논란에 “임시 기표소 투표 방법은 법과 규정에 따른 것으로 모든 과정에 있어 정당 추천 참관인의 참관을 보장해 부정 소지는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번 선거가 역대 최고 사전 투표율을 기록할 만큼 참여 열기가 뜨겁고 투표 관리 인력 및 투표소 시설 제약 등으로 확진 선거인의 사전 투표 관리에 미흡함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선관위는 7일 오전 긴급 전원회의를 열어 본 투표 때는 확진·격리자용 임시기표소를 없애는 방향을 제시했다.
일반 투표함 이용 방침이 적용되면 본 투표 일에는 확진·격리자도 투표함에 직접 투표 용지를 넣어 관련 논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전 투표 현장 사례를 접한 네티즌들은 “왜 말 나올 짓을 하느냐”, “부정 선거 떡밥 나오겠다”, “선관위 이번에 왜 이렇게 허술한 거냐?”, “요즘 반장 선거도 저렇게 안 하겠다”, “선거가 장난이냐”, “환자를 1시간 대기시키는 건 오바 아니냐?” 등 거센 비판을 쏟아냈다.
<문화경제 김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