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가 연초 이후 국내 상장된 전체 ETF 중 개인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역시 동종 펀드 중 가장 많은 개인 순매수가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에는 연초 이후 약 5,840억 원의 개인 순매수가 유입됐다. 이는 국내 상장된 모든 ETF 중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에도 약 2,618억 원이 몰려, 국내 상장된 나스닥100 추종 ETF 중 가장 많은 유입 금액을 기록했다.
TIGER ETF는 현재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미국 대표지수 투자 ETF로, 5일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의 순자산은 약 7.9조 원,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순자산은 약 4.6조 원으로 각각 아시아에 상장된 S&P500 및 나스닥100 지수 추종 ETF 중 최대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2월 한 달간 미국 증시는 소비 둔화 가능성과 트럼프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졌고, ‘S&P500’과 ‘나스닥100’ 지수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TIGER 미국S&P500 ETF’는 -2.647%,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3.69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다만, 회사는 낮은 실비용 부담과 큰 설정액 규모가 시장 조정 속에서도 수익률 하락 폭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의 TER(총 보수+기타 비용)는 0.0868%이며, 매매·중개 수수료율(0.0519%)을 포함한 실부담비용율은 0.1387%로, 국내 상장된 미국 S&P500 ETF 중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김남기 대표는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의 특성상 펀드 간 성과 차이는 비용 차이에 기인한다”며 “연초 이후 미국 증시가 다소 주춤하지만, AI 중심의 미국 시장 장기 성장성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TIGER ETF는 앞으로도 기타 비용 및 매매 비용을 최소화해, 아시아 최대 규모의 S&P500과 나스닥100 ETF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