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의 원인이 되는 회전근개 파열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나이, 근육 상태 등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수술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은 정형외과 노규철·이용범 교수 연구팀이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게 시행하는 수술법인 ‘광배근 힘줄 이전술’과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의 치료 효과와 합병증 위험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회전근개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광배근 힘줄 이전술’과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의 임상 결과를 의학 논문과 수술 사례를 통해 메타 분석해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수술법 모두 어깨 기능 회복과 통증 개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외회전 기능 회복 여부와 관절 안정성, 합병증 발생률 등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환자의 연령, 근육 상태, 외회전 기능 손상 정도, 기능적 요구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술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이면서 외회전 기능 결손이 심한 환자에겐 광배근 힘줄 이전술이, 상대적으로 젊고 근육 상태가 양호한 환자에겐 근육 전진술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노규철 교수는 “회전근개 파열 치료의 핵심은 특정 수술법의 일률적 우선순위보다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성과 기능적 요구를 균형 있게 반영한 맞춤형 치료 전략에 있다”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수술을 줄이고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경제 한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