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계적 신뢰성을 기반으로, 운전자 페달 오조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첨단 안전 보조 기술을 확대 적용한다.
현대차그룹은 고도화된 전자제어 기술을 활용한 안전 보조 사양을 도입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높이는 이중 안전 체계를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유압을 통해 차량을 제동시키는 기계적 원리로 작동하며, 전기차는 통합형 전동 부스터(IEB)를 적용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계와 독립적으로 설계돼 문제 발생 시에도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 동시 조작 시 브레이크 신호를 우선하는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도 적용했다.
여기에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페달 오조작 상황에 대응하는 첨단 안전 보조 기술을 새롭게 적용한다. 준중형 전용 전기차 ‘더 기아 EV5’에는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와 ‘가속 제한 보조’가 기본 탑재됐다.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는 정차 중 전·후방 장애물이 있을 때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해 급조작하는 경우 토크를 제한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 위험을 줄인다. ‘가속 제한 보조’는 80km/h 미만 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오랫동안 깊게 밟을 경우 토크를 제한해 일반적이지 않은 가속을 막는 기능이다.
현대차그룹은 이 기술들을 전기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차량으로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