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인대인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됐을 때, 허벅지 뒤 근육에서 떼어낸 햄스트링 힘줄을 6가닥으로 이식하는 수술법이 기존 4가닥 이식법보다 무릎 기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표준치료는 경골과 대퇴골에 터널을 뚫은 뒤 허벅지 뒤쪽의 햄스트링 힘줄 4가닥을 이식하는 방법이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정형외과 서영진 교수는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침습 방식으로 6가닥을 힘줄 이식하는 수술법과 전통적인 4가닥 힘줄 이식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시행했다.
서 교수는 202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4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73명과, 2022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기존 수술법에 2가닥을 더해 6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30명을 평균 2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6가닥 힘줄 이식 그룹은 기존 수술법 그룹보다 수술 후 이식된 힘줄이 더 두껍게 유지되고 무릎의 기능과 안정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영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최소침습 방식의 6가닥 힘줄 이식법이 기존 수술법보다 더 두꺼운 힘줄을 유지해 수술 후 무릎의 기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국내 최초로 비교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상당수 아시아인 환자가 기존 4가닥 이식법으로 이식된 힘줄의 충분한 직경을 달성하지 못하는 만큼 기존 방식의 한계를 겪는 환자들에게 이 수술법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경제 한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