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기자는 블로거를 절대 이길 수 없다

  •  

cnbnews 제24호 ⁄ 2007.07.02 15:37:22

블로거가 뉴스를 쓰는 세상이다. 그러나 기자는 기자만의 특화된 영역이 있다고 얘기한다. 또 블로거는 기자가 아니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나는 이런 ‘자위’나 ‘단속’에도 불구하고 결국 블로거는 기자를 압도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블로거와 기자의 차이는 브랜드의 ‘있고’ ‘없음’이다. 블로거는 자신만의 브랜드를 가지고 기자는 자신의 브랜드가 없다. 기자들은 소개할 때 자신이 속한 언론사의 브랜드를 내민다. 그러니까 블로거는 자신의 브랜드를 쌓기 위해 노력하고, 기자는 자신이 속한 집단의 브랜드를 위해 일한다. 이건 블로거와 기자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차이다. 개인을 위해 일하는 사람과 집단을 위해 일하는 사람 누가 더 효율적이겠는가. 누가 더 높은 성과를 내고 보상을 받겠는가. 개인에게 구체적인 보상을 제시한 사회가 성공했다는 것은 이미 역사를 통해 증명되었다. 자신의 땅을 위해 노력한 서부의 수많은 개인 개척자들이 초강대국 미국을 만들어냈고, 집단농장으로 국가를 경영한 남미는 후진국이 되었다. 문화일보 이미숙 기자가 노 대통령 연설을 악의적으로 왜곡해서 블로거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만약 그가 블로거였다면 그런 기사를 쓸 수 있었을까. 쓸 수는 있었겠지만 아마 그 즉시 그에겐 블로고스피어에서 사망선고가 내려졌을 것이다. 기자는 숨을 데가 있다. 언론사 뒤에서 한동안 뭉개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블로거는 숨을 데가 없다. 자신의 브랜드를 걸었는데 어딜 숨는단 말인가. 누가 더 치열한 경쟁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가? 당연히 시장에 바로 노출된 블로거가 기자에 비해 경쟁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또 기자와 블로거의 차이는 커뮤니티에 있다. 기자는 자신이 속한 언론사라는 집단을 가진다. 그건 커뮤니티가 아니라 조직이다. 언론사 간에 기자단 같은 모임이 있다. 그것도 커뮤니티는 아니다. 이번 기자실 통폐합에서 드러났듯이 그들만의 동맹일 뿐이다. 다른 소리라는 것도 결국 그들 간의 세력다툼이다. 반면 블로거는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 커뮤니티를 통해서 자신의 포스트는 계속 검증받는다. 블로고스피어에 자신의 브랜드를 퍼뜨리기 위해 항상 여론을 살피고 다양하고 재밌는 포스팅을 고민한다. 기자는 피드백 받기 위해 데스크와 여론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치지만 블로거는 즉각 자신의 기사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어렵사리 얻은 기자의 피드백은 또 복잡하고 이해관계가 얽혀서 신뢰성도 블로거에 비해 낮다. 따라서 기자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서 블로거에게 불리하다. 블로거는 계속적으로 블로거커뮤니티를 통해 여론을 살피면서 공감대를 확보하고 확대한다. 그러나 취재원과 데스크를 더 많이 상대하는 기자는 취재감각은 좋을지 모르나 블로거에 비해 미디어감각은 떨어진다. 여론과 긴밀히 소통하는 쪽이 더 공감 받는 기사를 쓸 수 있다. MBC 이진숙 기자가 기자실 통폐합에 대해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하지만 허술한 논리로 댓글을 통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그가 이런 답답한 기사를 쓰게 된 것도 바로 블로고스피어 같은 검증과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몇몇 블로거들은 도저히 이진숙 기자를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데스크의 지시와 집단의 자기최면만을 받은 기자들은 그런 글을 쓸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 기자이면서 블로거인 ‘그만’님과 ‘떡이떡이’님은 이번 기자실 이슈에서 다른 기자들과 다른 포지션을 취했다. 블로거 커뮤니티를 계속 주시하고 자신만의 브랜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자이면서 블로거인 두 분은 커뮤니티의 흐름을 파악하고 적절한 판단을 한 것이다. 기자실통폐합 반대가 더 높은데 뭐가 적절하냐 할 수 있다. 그러나 여론은 잘 구분해서 봐야 한다. 기자실은 국민적 이해도가 낮은 이슈다. 현재의 반대 여론은 맹공을 퍼붓는 언론에 휩쓸린 영향이 크다. 따라서 반대여론은 적극적 반대여론이 아니다. 그러나 찬성론자는 적극적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기자실 통폐합을 찬성하면 반대론자로부터 공격을 받을 일이 별로 없지만, 반대하면 엄청난 공격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과연 이럴 경우 오피니온 리더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관심 없는 반대여론과 적극적인 찬성여론 중 어디에 기대야 할까? 언론사란 결국 브로커다. 취재원과 국민사이에서 정보를 매개한다. 그런데 이번 기자실 통폐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브로커 시장을 언론동맹들이 독점해왔다. 결국 한통속임이 드러났다. 이제 이 브로커 시장에 블로거라는 새로운 경쟁자가 뛰어들었다. 앞으로 취재원과 국민사이에서 정확하고 원활한 정보유통을 하지 않는 브로커는 기자든 블로거든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다. 현재의 상황을 봤을 때 블로거가 이 시장을 석권하리라 예상된다. 현재의 기자들은 앞으로 출입처요원이나 편집부원이란 의미로나 쓰일까. -김욱 미디어다음 블로거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