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만 골라 연쇄 살인한 강호순, 미성년자를 성추행한 조두순, 각종 단체·직장·대중교통수단 등에서 일어나는 성추행들…한국 사회에서 성과 관련된 문제는 끊이지 않지만, ‘성중독’이라는 개념은 낯설다. 문제가 있어도 이를 꺼내놓고 해결책을 찾는 게 아니라 무조건 감춰놓고 보는, 그래서 곪아 터질 때까지 기다린 뒤에야 부산을 떠는 한국 사회 특유의 ‘공적 문제 해결은 느리게, 느리게’ 현상의 한 단면이다. 이런 가운데, 한 중독 치료 전문가가 한국 최초의 성중독 갱생자 모임(SAA, Sex Addicts Anonymous)를 운영하고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서울중독심리연구소 김형근 소장. 그는 현재 15명 정도의 성중독자가 참여하는 SAA 모임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체 웹사이트(www.sri.or.kr)을 오픈해 더욱 많은 사람이 참여하도록 모임을 개방하고 있다. 그가 이끄는 치유 모임은 미국 알코올중독자 갱생 모임이 개발한 12단계 치유법을 성중독자에게 원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의 성중독 증상과 경험을 회원들 앞에서 고백하고 회원들은 고백자를 격려하는 방식으로 중독 증상을 치유해 나간다. 알코올중독자 치유법을 성중독 치료에 활용 알코올중독자 치유 방식을 성중독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김 소장은 “모든 중독 증상은 기본적으로 같은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며, 알코올중독·마약중독은 쉽게 성중독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마약·알코올·도박·성 등이 따로 분리되는 게 아니라 서로 밀접히 연결되면서 여러 중독 증상이 일어난다는 설명이다. 목회자이기도 한 김 소장이 이끄는 성중독 치유 모임은 매주 일요일에 모여 나눔의 시간(고백) → 침묵의 기도 → 교제 및 다과 시간을 갖는다. 모임에 걸리는 시간은 3시간 정도. 만나서 자신의 경험을 고백하고 친교를 나누는 정말로 단순한 모임이다. ‘이런 단순한 과정으로 어떻게 치유 효과가 발생하느냐’는 질문에 김 소장은 “비밀은 바로 ‘고백’에 있다”고 대답했다. 중독자들은 대개 극히 낮은 자아의식을 갖고 있다. 이성적으로는 빠져나오려 하고, 자극적인 성적 행위에 빠져들어갔다 나오면서 “다시는 이러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이미 다음 번 행동을 준비하는 자신을 보면서 중독자들은 스스로를 저주하는 상태, “나는 벌레 같은 인간”이라는 수치심에 빠져들기 쉽다는 것이다. 이런 중독자에게 먼저 필요한 것은 ‘당신도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 ‘당신이 말해도 나는 비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려주면서 고백할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단계다. 이런 분위기가 조성되면 중독자는 “고백할까 말까” 하는 치열한 내적 고민을 반복하다가 “그래, 고백하자”고 결심하게 된다. 이렇게 결심하는 순간마다 ‘의지의 힘’이 생겨나게 된다. 의지의 힘이 하나씩 생겨날 때마다 마음은 강해지며, 치유를 향해 한발 한발 나아갈 수 있다. 수치스런 고백을 해도 회원들이 받아들여 감싸주는 ‘신뢰의 경험’을 하면서 중독자는 또 하나를 더 고백할 의지의 힘을 갖게 된다. ‘고백 자체가 곧 치유가 되는’ 과정이다. 고백 감싸주면 중독 이길 의지의 힘 생겨 물론 이런 과정에는 김 소장처럼 전문적인 자격과 경험을 가진 사람의 지도가 중요하다. 알코올중독자들이 모여 술을 끊겠다고 하다가 자칫 ‘술꾼들의 모임’으로 순식간에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험과 능력이 있는 조정자가 제대로 활동한다면 고백을 통한 치유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은 미국 알코올중독자 갱생회(AA)의 75년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그가 이끄는 SAA 모임은 교회 같은 헌금 방식으로 운영된다. 치료비 부담 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낼 수 있는 만큼의 헌금을 내면서 활동하는 방식이다. 김 소장은 성중독증을 치료하는 궁극적인 방법은 “가정·학교·사회가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첫 걸음은 가정에서다. 부모가 사랑으로 자녀를 존중해주며 가르쳐야 어린이는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사랑하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부모가 이런 사랑법을 자녀에게 가르쳐주지 못하고 있다. 가정에서 못 하면 다음 단계는 학교에서다. 이성을 ‘섹스 수단’이 아니라 인격체로서 사랑하도록 교육하는 방식이다. 학교에서도 못 하면, 그 다음 단계는 법을 통한 처벌이 뒤따르는 사회적 교정의 단계로 들어서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