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지긋지긋한 편두통 어떻게 고치나

목근육 이상에서 오는 편두통 한 방에 날리는 근육운동

  •  

cnbnews 제170호 편집팀⁄ 2010.05.17 16:55:38

설준희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 교수 ‘머리가 아픈 증상’을 뜻하는 두통(頭痛, headache)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자주 경험하는 흔한 증세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여성의 66%, 남성의 57%는 1년에 한 번 이상 두통 때문에 고통을 겪는다고 한다. 무슨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아이구, 두통이야!” “아휴, 골치 아파!” 하면서 머리를 두드리거나 감싼다. 이처럼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아도 골치가 지끈거리는 그 흔한 두통은 그러나 나타나는 증상이 다양한 만큼 발생 원인을 알기가 어려우며, 처방과 치료 방법도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우리가 흔히 겪는 주요 두통의 특징을 오른쪽 <표1>에 요약 정리하였다. 이번 호에는 <표1>에 소개하는 두통들 중에서 신체 디자인 운동과 관련이 있는 ‘편두통’을 골라 그 치료법의 일부를 설명하고자 한다. 편두통의 원인 편두통은 한쪽 머리에 갑자기 일어나는 발작성 두통을 말한다. 처음에는 한쪽 머리가 발작적으로 아프다가 온 머리로 미치며, 구토·귀울림·권태감 등이 함께 일어난다.

인구의 90% 이상에서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경험한다는 이 편두통은 약을 복용해도 큰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고, 여러 군데 병원을 찾아가 봐도 스트레스나 음식을 조심하라는 등의 일반적인 대답 이외에는 속 시원한 답변을 듣기가 힘들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런 만큼 편두통은 종류도 많고, 따라서 유발인자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원인은 한마디로 설명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다.

여성은 남성보다 이 편두통이 더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호르몬의 변화가 많은 사춘기와 갱년기 등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영국의 편두통 크리닉의 통계에 의하면, 목에 통증이 있는 환자의 1/2~2/3에서 편두통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 컴퓨터나 운전을 할 때 자세가 좋지 않아도 편두통이 올 수 있다. 그리고 비행기를 오래 타고 나면 편두통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오랜 시간 여행하면서 알게 모르게 신체와 정신에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세이다.

이와 같은 편두통의 경우는 신체 치료, 즉 근육에 대한 치료를 해서 가라앉힐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세운동·근육운동·유연성운동이 편두통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든 편두통에서 그 부근의 혈관에 변화가 보였다는 점에서, 운동이 전체 편두통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편두통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에서 뇌의 혈관이 부풀어 있는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 혈관 이상이 뇌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이 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울러 뇌에서 *세로토닌이 분비되면서 혈관의 확장이 생긴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이 세로토닌이 분비된다고 해서 모두에게 편두통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아마도 어떤 유전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그림2>에서 보는 인자들이 작용하였을 때 세로토닌의 분비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편두통이 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편두통이 있는 사람은 유발인자 중 자신이 갖고 있는 인자가 무엇인지 찾아내어 이를 없애는 처방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편두통의 치료 편두통이 가끔 나타나는 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는 병원에 찾아가도 진단이나 치료가 불분명하여 소용이 없다고 여기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확실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유발인자가 밝혀져 있고 이 유발인자로 인한 뇌혈관의 이상, 호르몬 분비의 이상 등으로 편두통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대세인 만큼, 치료 방침은 확실히 정할 수가 있다. ①MRI 등의 정밀검사를 하여 뇌의 기질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②부비동·치아·귀에 오는 질환을 조사한다. ③근육 검사를 하여 목 등의 근육에서 유래되는 통증 여부를 조사한다. ④호르몬 검사(특히 여성)를 하여 호르몬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⑤유발인자 중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인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⑥운동(유·무산소운동)을 하여 혈관에 탄력을 주고, 스트레스를 제거하고, 목의 근육을 부드럽게 한다. ⑦머리와 목·어깨의 정렬을 검사하고, 항중력운동을 한다. 목 근육의 이상에서 오는 편두통 목의 근육들에 이상이 있을 때 편두통을 일으키는 경우도 매우 많다. 따라서 편두통이 있을 때에는 목 근육에 대한 검사도 반드시 해야 한다. 목 근육을 다친 일이 없다 하더라도, 목 근육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나 머리와 어깨의 정렬이 바르지 못한 경우 등에서 목 근육에 이상이 올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편두통을 잘 일으키는 근육의 운동법 ①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domastoid) 똑바로 누워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한 손으로 뺨을 잡고 머리와 목을 한쪽으로 돌린다. 다음에는 반대쪽으로 돌린다. ②세모근(upper trapezius) 편두통이 있는 쪽의 머리를 반대쪽 손으로 잡고, 편두통이 있는 반대쪽으로 민다. ③목반가시근(semispinalis capitis) 뒷머리에 손을 대고 머리를 뒤쪽으로 민다. ④목설판근(splenius cervicis) 머리를 아래로 숙인 다음, 편두통이 있는 쪽의 반대 방향으로 머리를 30~40° 돌린다. ⑤윗머리 빗근(rectus capitis porterior major) 한 손은 편두통이 있는 쪽의 머리 위에, 한 손은 그쪽의 뺨에 대고, 화살표 방향으로 민다. ⑥아랫빗 긴목근(obliquus capitis inferior) 한 손은 편두통이 있는 쪽의 머리 위에, 한 손은 그쪽의 뺨에 대고 화살표와 같이 움직인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