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설준희 교수의 메디컬 40년 에세이]필리핀에서 언양불고기 먹고 “얼음땡”

반가운 마음에 2인분 꿀꺽했더니 극심한 저체온증이…

  •  

cnbnews 제280호 박현준⁄ 2012.06.25 11:14:09

눈이 하얗게 쌓인 산 중에서 길을 잃고 정신을 잃어가는 사람에게 저체온증을 막아주기 위해서 알몸으로 안아 몸을 비벼주며 잠들지 말라고 소리치는 장면 등을 영화로 본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얼마나 추우면 저렇게 온몸이 흔들릴 정도로 괴로운 걸까? 나도 궁금했다. 학회 일로 필리핀 마카티에 간 적이 있다. 나는 마카티 내에서 필리핀이 자랑하는 쇼핑센터인 그린벨트를 구경하다가 한국 퓨전 음식점을 발견하고 들어갔다. 메뉴에 언양불고기가 있는 게 아닌가! 반가운 김에 2인분을 시켜 먹어치웠다. 그리고 쇼핑센터 내를 구경하고 있는데 약 30분쯤 됐을까?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화장실에 들어가니 설사가 끝없이 나오면서 열이 나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호텔로 돌아가려고 방향을 잡았는데 그때 마침 길거리 행사로 교통이 차단돼 걸어서 15분 정도 걸리는 호텔을 향해 서둘렀다. 그 와중에도 배가 더 아파지고 열이 오르면서 정신이 혼미해지기 시작했다. 호텔 정문까지 가까스로 와서 안내원의 부축을 받고 호텔 방으로 돌아와 마침 가지고 간 항생제를 먹었다. 그런데 구토 증세가 나면서 변기통에 있는 대로 토해낸 뒤 조금 편안해지나 싶더니 갑자기 추워지기 시작했다. 이불을 겹으로 덮었으나 아래위턱이 소리를 내며 부딪칠 정도로 추위가 엄습했고 모든 근육이 아파왔다. 내가 느끼기에 당시 심박동은 200회가 넘는 듯했다. 나는 가까스로 항생제를 더 먹고 이불 속에서 몸을 벽에 대고 비벼댔으나 얼마 안 가 의식을 잃었다. 내 생각에 그때가 저녁 7시 정도였던 것 같은데 깨어보니 새벽 3시였다. 8시간 내리 잠을 잤던 것이었다. 세균이 내 몸에 들어와 급성 패혈증을 일으킨 것인데 마침 가지고 간 항생제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이런 경우 살아났다는 게 신기하다. 왜 의사에게 치료를 요청하지 않았느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으나 그럴 경황도 없고 일요일 오후라서 연락해도 큰 도움이 안 됐을 것이다. 아마도 하나님께서 너는 아직 하늘나라 올 시간이 안 됐다고 안 데려가신 것 같다. 마카티에서 언양불고기라니…. 필리핀인이 대부분인 퓨전 음식점에서 누가 언양불고기를 찾겠는가? 상한 고기를 먹었으니 그냥 균 덩어리를 먹은 셈이다. 외국 특히 후진국에서는 호텔 안 또는 초특급 음식점만 이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새삼 다시 마음에 새겼다. 만일 내가 지역 응급실로 갔더라도 필리핀 의료 상황으로 봐 내 상태는 더 악화됐을지도 모른다. 우리나라라고 해서 심한 식중독에 걸리지 말라는 법은 없다. 휴일이나 저녁 또는 객지에서 이런 일을 당했을 때 이런 사태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의 의약분업 상태로는 항생제도 급하게 구해 쓸 수 없는 것은 물론 작은 병원에서는 긴급 대처를 위한 시설, 인적, 구조 등에 문제가 적지 않다. 응급환자를 바로 보고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욱 확충돼야 한다. 복면 쓴 한국인에 ‘햇볕정책’ 필요한 이유 골프장에서 있었던 일이다. 우리 앞의 골프를 치는 4명이 모두 얼굴을 가리고 골프를 치고 있었다. 파 3 홀에서 밀려 있는데 우리 뒤의 팀 사람들이 걸어가고 있는 앞 팀 사람들을 향해서 “또 저 친구들이네. 왜 얼굴에 복면을 쓰고 다니는 거야! 저렇게 남에게 혐오감을 주는 사람들은 골프를 못 치게 해야 해” 하면서 화를 내고 있었다. 사실 요사이 골프를 치는 사람들은 얼굴에 자외선 차단제를 두텁게 바른다. 걷거나 등산을 하는 사람들도 자외선 차단제는 물론 복면까지 쓴다. 한술 더 떠 요사이 자외선이 차단되는 옷도 선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본에서는 자외선이 모자란다며 가능하면 자외선을 받도록 한다. 서양에서는 수영장이나 해변은 물론 집 마당에 누워 선탠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검버섯과 주름이 많이 생기는 등 피부를 노화시킨다며 외부에 나갈 때는 지나치게 자외선 차단에 신경을 쓴다. 자외선은 몸에 나쁘게 작용하기보다는 오히려 좋은 점이 더 많다. 우리 건강에, 수면에 지대한 공헌을 하기 때문이다. 우울증이 많은 북반구의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등은 1년에 거의 4~5개월간 태양이 없다. 따라서 우울증 환자가 많고 태양이 없는 계절에는 다른 나라로 태양을 떠나는 현상도 있다. 몇 년 전 인도네시아에 쓰나미가 닥쳤을 때 피해를 입은 외국인 중 스칸디나비아반도 사람들이 많았던 것도 그 때문이다. 자외선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눈에도 안 좋아서 가능하면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를 권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부작용은 자외선을 강하게 그리고 오랫동안 쬐었을 때 생기는 현상일 뿐이다. 우리나라에선 봄, 가을, 겨울에는 태양빛을 많이 받아도 부족한 편이다. 여름철이라도 2시간 이상만 안 쬐면 된다. 적절히 자외선을 받아야 비타민 D가 생성되고, 숙면을 취하며 우울증을 줄이는 등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화장품을 가장 많이 쓰는 나라 중 하나라고 한다. 화장품 회사의 과잉 광고에 홀려 자외선 차단제를 무분별하게 바르고, 자외선 차단 의복을 값비싸게 구입하는 사람들을 보면 안타깝다. 자연을 거스르는 일은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하늘은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자연을 내려준 것이며, 거기에는 자외선도 포함된다. - 설준희 세브란스심혈관병원 심장웰네스센터장 / 운동치료클리닉 과장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