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김재화 골프 세상만사]술에서 골프로 이동하는 한국 정치

  •  

cnbnews 제369호 김재화 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장⁄ 2014.03.10 13:16:46

최근 필자가 이사장으로 있는 (사)한국골프칼럼니스트협회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의 막강한 실력의 정치인에게 ‘골프문화토론회’를 공동개최하자고 제안했다가 보기 좋게 거절을 당하고 말았다. 그가 보좌관을 통해 전하는 답이 걸작이었다. “내가 골프 좋아하고 실력 출중하다는 거 세상이 다 알아요. 그런데 골프행사를 하면 기자들이 가만 둘 것 같아요?”

그래서 더 해야 하는 거 아닐까. 아무래도 이상했다. 그 양반 대답이 이랬다면 백번이라도 이해했을 것이다. “내가 골프를 몰래 해요. 주로 나에게 부탁을 해오는 사업가들이 비용을 대주죠. 난 멀리건도 잘 써요. 안 볼 때 볼터치도 잘 하구요. 그런 내가 골프문화 향상을 위한 토론회를 무슨 낯으로 하겠어요!”

수도 없이 되뇌이는 말이지만, 골프는 긍정과 부정 양면성의 모순을 안고 있는 희한한 스포츠다. 아니 사실은 ‘한국의 골프는 요물’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그게 정치 쪽에서는 더욱 이상하게 인식되고 있으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한국 정치에서 골프는 도깨비’같은 것이다.

국민소득 1만 달러에 이르면 골프의 대중화는 필연적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최고 대학인 서울대의 교양학부에 ‘골프과목’이 설치된 게 이미 20여 년 전이다. 이후 소득도 더 높아졌으며, 골프장과 골퍼도 해마다 늘고 있는데, 한국에서 골프가 완전한 대중스포츠로 자리매김하지 못하는 것은 참 묘한 일이다. 그런 골프가 IMF의 시름을 잊게 해준 LPGA의 박세리나 세계 여자골프사에서 가공할 기록을 쌓은 박인비 등의 힘으로 국위선양을 단단히 하고 있는데, 왜 여전히 말이 많고 계속해서 계층 간의 위화감을 증폭시키고 있는 것일까?

그 일에 대해 통감해야 할 곳이 있다. 바로 정치권이다. 도대체 골프를 어떻게 이용하는 것일까? 민간인들이 골프장에서 사고를 내는 경우도 있긴 하다. 그러나 정치인처럼 대형 사고를 치는 일은 없다. 골프장 난동에 어김없이 정치인이 끼었던 시기가 있었다. 이 비사를 아시는지? 최근의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합당도 쇼킹하지만, 현대 정치사에서 가장 크게 경천동지를 시켰던 대정치퍼포먼스는 1990년 1월 6일 있었던 민정, 민주, 공화 3당의 합당이었다. 국내 정치사에서 골프회동을 통해 만들어 낸 ‘대마왕 결실’이었다.

정치인들은 지금도 골프장의 주고객이다. 단지 안하는 척만 할 뿐이다. 골프가 정치 활동의 중심부로 들어오게 된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무엇이 ‘골프정치’를 가져온 것 일까? 총칼의 위협이 상존했던 1970년대의 군사독재 시절만 해도 국내 정치는 술집에서 주로 이뤄지는 ‘밀실 야합’의 수준을 넘지 못했다. 국가나 각 정당의 주요 의사결정은 극소수 실권자들 간의 비밀회합으로 결정됐다. 당시 정치인들이 밀실 대화 장소로 즐겨 찾던 곳은 삼청각, 대원각CC 아니, 요정이었다.

한 중견 정치인이 말했다. “새벽까지 술집에서 여자들까지 있는 몽롱한 상태보다는, 밝은 대낮에 맑은 정신에서 자연을 벗하며 하는 협상이 훨씬 생산적이고 효과적이라는 걸 알았어요. 그리고 대부분의 대통령들이 하지 말라고 하니, 그게 역설적으로 더 하고 싶도록 부추기더라니까!” 그래서 정치인들이 골프회동을 선호한다나! 게다가 골프는 1인당 30만 원 정도의 비용이면 충분히 접대가 가능해 받는 쪽이나 해주는 쪽이나(그들에게는 껌 값 정도일 테니까) 경제적으로도 술자리 보다 부담이 적어서일까.

한국정치가 술에서 골프로 옮겨진 것은 확실한데, 그들이 갖고 있는 골프문화, 그 신성함이 제대로 정립되었는지는 미지수인 것 같다.

- 김재화 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장(언론학박사) (정리 = 이진우 기자)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