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9호 송행근 중국문화학자⁄ 2014.03.10 13:25:27
중국에서 돈을 많이 가진 사람을 어떻게 부를까?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자라고 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부자라는 명칭 대신에 부호(富豪)·부옹(富翁)·부인(富人) 등을 사용한다. 이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호칭은 부호이다.
오늘의 중국부자를 살펴보기 전에 한 번쯤 언급하고 가야 할 점은, 고대 중국인들의 돈에 대한 인식이다. 그 이유는 돈과 부자에 대한 중국인의 관념을 이해해야만 오늘날 부자들의 속성을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는 것은 세상에 태어난 절반의 이유와 살아가는 동안 최종의 목표였다. 물론 다른 절반의 이유는 높은 벼슬에 오르는 것이다. 두부를 칼로 자르는 것처럼 신분계급이 엄격했던 중국 봉건사회에서 부자가 되는 것은 높은 벼슬에 오르는 것 보다 더 중요했다.
한대(漢代) 이후 청대에 이르기까지 유가(儒家)는 통치이념이었다. 따라서 고위 관직에 오르는 것은 사대부의 숙원이었다. 그러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인민들은 부자가 되는 것이 더 중요했다.
중국인이 돈에 대해 어떤 생각을 했는지에 대해 가장 솔직하게 말한 사람은 상앙(商鞅)이다. 진시황의 중국통일 초석을 마련한 법치주의인 그는 “백성들의 부귀에 대한 욕구는 관 뚜껑을 닫은 뒤에야 그친다”고 토로했다. 중국인의 속성을 이 보다 적나라하게 표현한 사람이 있을까.
돈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은 명확하다. 그 명확한 관념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 있다. 바로 돈은 ‘귀신도 부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진(晉)나라 때 노포(魯褒)가 지은 《전신론(錢神論)》에서 나온다. 여기에서 노포는 “돈은 귀가 없지만 귀신을 부릴 수 있다(錢無耳, 可使鬼)”라고 했다.
돈이 ‘귀신도 부린다’는 인식은 ‘귀신과 통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발전했다. 당(唐)나라 때 장고(張固)가 지은 《유한고취(幽閒鼓吹)》를 보자.
『당나라 때 장연상(張廷賞)이라는 관리가 있었다. 그는 고위층이 연루된 큰 사건을 맡아 부하들에게 10일 안에 조사를 끝마치라는 엄명을 내렸다. 다음 날 누군가 그의 책상에 3만 관의 돈을 뇌물로 놓아두고 사건을 덮어달라고 부탁했다. 장연상은 크게 노하여 조사에 박차를 가하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그 다음 날에는 5만 관이, 다음 날에는 10만 관의 뇌물이 그의 책상 위에 놓여 있었다.
장연상은 “10만 관이라는 돈은 귀신과도 통할 수 있는 액수이다. 이를 거절했다가는 내게 화가 미칠까 두려우니 그만두지 않을 수 없다(錢至十萬, 可通神矣. 無不可回之事, 吾懼及禍, 不得不止.).”라고 하고 사건을 흐지부지 종결시켰다.』
전가통신(錢可通神)의 고사성어가 후세에 주는 교훈은 참으로 실질적이다. 돈은 귀신과도 통할 수 있으며 때로 돈의 위력은 일의 결과까지도 결정지을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돈이 이승세계에서도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은 그 어느 민족보다도 현실세계를 중시한 중국인의 특성으로 볼 때 참으로 대단한 발상이다.
감히 공자의 나라라고도 해도 과언이 아닌 고대 중국에서 이 같은 발칙한 인식은 참으로 도발적이고 대담하다. 수천 년 동안 중국의 정신적 지주였던 공자는 제왕에서부터 일반 평민에 이르기까지 청빈과 근검절약을 주창했다. 그런 연유로 수천 명의 제자 가운데 유독 안회(顔回)를 보고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簞食瓢飮)’로 살아가는 청빈한 삶과 그 삶 속에 찾는 자족(自足)을 침 마르게 칭찬했다.
그렇지만 돈을 본능적으로 좋아하는 중국인들의 본성에 대해서는 그 역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저서 《논어(論語·里仁)》에서 “부귀는 사람의 바라는 바(富與貴是人之所欲)”라며 부귀에 대한 인간의 현실적 욕망을 솔직히 인정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