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1-382호 김재훈 선화랑 큐레이터⁄ 2014.06.05 08:45:36
▲ CNB저널, CNBJOURNAL, 씨앤비저널
올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Dream, Design, Play”슬로건으로 문을 열었다. 2004년 플리츠커 건축상을 받은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을 맡은 DDP는 유선형의 미래지향적인 모습으로 탄생했다.
필자는 차를 타고 이동하는 중 동대문을 지나치며 DDP를 처음 보았다. 패션을 주도하는 여러 건물들 사이에 들어선 DDP는 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했지만, 필자는 ‘이곳에 왜 우주선 같은 건물이 들어섰을까?’라는 생각에 의아한 마음이 들었다.
3월 초, G-Seoul14 Art Fair가 새로운 공간 DDP에서 열린다는 소식이 들렸다. G-Seoul은 2011년 첫 선을 보이며, 여러 아트페어 사이에서 고급화를 강조하고 차별화하기 위해 국내 대표적인 화랑들의 참여를 유도해 온 아트페어이다.
마침 올해 필자가 근무하는 선화랑에서는 새롭게 선보이는 작가의 군이 외부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 힘입고, 주변의 권유를 받은 화랑은 G-Seoul14 Art Fair 참가를 결정했다. ‘DDP라는 공간은 어떤 곳일까?’라는 궁금증과 새롭게 프리미엄 아트페어에서 좋은 반응 얻길 바라는 간절함이 앞섰다.
아트페어를 참가하는 큐레이터가 본 DDP는 어떤 곳일까. DDP는 한 개의 지하철 노선만 지나는 코엑스보다 많은 3개의 지하철 노선이 다니기 때문에 접근성이 더 용이하다. 2호선 통로에서 전시장까지 가깝게 연결되기 때문에 참으로 편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름다운 곡선으로 이루어진 건물 전체 디자인은 심리적으로 마음의 여유를 찾아준다. 크기는 몇 십 분만으로도 외부 전체를 천천히 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주변에 공원이 조성되어 더욱 안정적인 느낌이다.
필자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외부 공간은 옛 터와 이간수문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곳이다. 마치 옛 것을 현재와 미래가 품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트페어가 열린 알림관의 내부 전시장은 기둥이 없다. 지하 2층부터 지상1층까지는 하나의 공간이다. 직선이 없고 곡선으로 이루어져서 답답함과 막혀있다는 혹은 갇혀있다는 느낌이 없다. 출입구는 층 마다 밖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로는 둥근 터널로 간접조명의 편안함과 화장실 주변에는 자연음을 틀어 놓아 조용하면서도 이용자의 부담을 줄였다. 이동통로 중간에 편히 쉴 수 있는 의자를 놓았다. 나무로 만들어진 세련된 의자들이다. 작은 배려지만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DDP에서 개최된 G-SEOUL14 전시 전경. 사진 = 왕진오 기자
▲DDP에서 개최된 G-SEOUL14 아트페어 선화랑 부스 전경. 사진 = 왕진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