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부모생활비 '스스로 해결해야' 56.2%…계속 증가 추세

통계청, 15일 2016 사회조사 결과 발표…부모부양 '가족과 정부.사회' 공동 책임 45.5%

  •  

cnbnews 유경석⁄ 2016.11.15 15:37:18

▲2016 사회조사 결과 중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자료=통계청)

대한민국 시민 절반 이상은 부모생활비는 스스로 해결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부모부양 역시 가족만이 아니라 정부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에 가까웠다.


15일 통계청은 가족, 교육, 보건, 안전, 환경 부문에서 실시한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지난 5월 18일부터 6월 2일까지 전국 2만 5233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 8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 자녀와 함께 사는 부모의 비율은 29.2%로 감소추세인 반면 부모만 따로 사는 경우는 계속 증가해 68.2%를 기록했다.


부모만 따로 사는 비율이 증가하면서 생활비 지원도 달라지고 있다. 


부모의 생활비를 '부모 스스로 해결'하는 비율은 52.6%로, 이는 2년 전 50.2%보다 2.4%p가 증가했다. 


반면 자녀가 제공하는 비율은 47.4%로 점점 감소하고 있다. 2008년 52.9%, 2010년 51.6%, 2012년 50.7%, 2014년 49.5%였다.


부모부양에 대한 견해 역시 '가족과 정부·사회' 가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45.5%로 가장 많았다.


반면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생각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30.8%로 조사됐다.


이는 8년 전인 2008년 40.7%보다 9.9%나 감소한 것이다. 


청소년에 가장 큰 고민은 공부(32.9%)였고, 상담은 주로 친구․·동료(44.4%)에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남자는 48.1%, 실제로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하는 남편은 17.8%에 그쳐 차이를 보였다.


국민의 48.0%가 결혼하지 않아도 함께 살 수 있지만, 결혼 하지 않고 자녀를 가지는 것에는 75.8%가 반대했다.


결혼에 대해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51.9%로, 이는 2년 전(56.8%)보다 4.9%p가 감소했다.


이혼은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43.1%로 증가하는 추세인 반면,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9.5%로 감소했다.


재혼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62.3%, '해야 한다' 14.2%, '하지 말아야 한다' 16.3%로 나타났다.


가장 주된 불안 요인은 범죄발생(29.7%), 국가안보(19.3%), 경제적 위험(15.5%)이었다.


환경 문제 중 황사, 미세먼지 유입(79.4%)에 대한 불안이 가장 컸다.


한편 통계청은 사회지표체계 10개 부문 중 매년 5개 부문을 선정해 2년 주기로 부문별 사회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오는 2017년에는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여가, 소득과소비, 노동 부문을 조사할 예정이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