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영⁄ 2016.12.22 10:38:45
▲CJ CGV가 위탁 경영을 맡고 있는 CGV블리츠가 인도네시아에서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사진=CJ CGV)
CJ CGV가 인도네시아 진출 4년 만에 연 관람객 10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CJ CGV(대표이사 서정)는 지난 21일 인도네시아에서 사상 최초로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CJ CGV는 2013년 현지 극장 체인 블리츠(Blitz)의 위탁 경영을 맡아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진입 전인 2012년 400여만 명이었던 관객수는 CJ CGV가 위탁 경영을 시작한 2013년 556여만 명, 2014년 676여만 명, 2015년 700여만 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30% 성장률이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50% 이상 성장을 이뤘다.
스크린 점유율에서도 성장을 보였다. CGV 진출 전인 2012년엔 9%였던 스크린 점유율이 현재는 15%까지 올랐다. 경쟁사인 멀티플렉스 XXI는 기존 88% 점유율에서 74%로 하락세를 보였다.
CJ CGV는 인도네시아에서의 성장 요인을 마케팅의 고도화, 특별관 차별화, CSV 활동으로 분석했다. 마케팅의 경우 5000명 이상 관객을 초청하는 대규모 프리미어 VIP 행사를 선보였다. 지난 9월 플래그십 극장 CGV블리츠 GI(Grand Indonesia)에서 열린 블록버스터 '와르콥 디케아이 리본' 시사회의 경우 그 규모나 내용이 호평 받았다. 이를 통해 인니 영화 역대 최대 관객수인 700만명을 기록하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다.
SNS 사용자가 늘고 있는 인니 관객 특성을 고려해 디지털 마케팅도 전방위적으로 강화했다. 모바일과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개선해 예매 기능을 활성화시켰고, 모바일 멤버십을 개발해 카드를 소지 하지 않고도 멤버십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유도했다. 인니 최초로 티켓 판매기를 도입해 편리성도 강화했다.
컬처플렉스 활동도 진행했다. CGV 캐릭터 '파코니'를 활용한 디자인 마케팅, 라이브 버스킹 공연, 호러 파티 행사, 패밀리 무비타임 할인 이벤트 등 영화 외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특별관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다른 극장과의 차별화에도 노력했다. CGV의 기술력이 응집된 4DX, 스크린X, 스피어X, 스타리움 뿐 아니라 인니 최초 침대관 벨벳(Velvet), 골드클래스, 스윗박스 등 프리미엄관도 집중 배치했다. 특별관의 좌석 비중은 전체의 21%에 이른다. 이들 특별관에서만 지난해보다 올해 약 134% 가량 관객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쳐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오기도 했다. 2013년부터 '인도네시아 토토의 작업실'을 통해 반둥, 자카르타 지역을 중심으로 미래 영화 인재 양성에 나섰다. 300여 명의 청소년이 토토의 작업실을 경험했다.
이와 함께 한국-인도네시아 영화제를 열어 양국 문화교류에 힘을 보태며 현지 영화산업발전의 토대를 다졌다. 또한 2014년부터 CGV블리츠 브카시에 독립예술전용관 '아트하우스'를 도입해 인니 독립영화시장의 발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CJ CGV 인도네시아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임종길 상무는 "CGV인도네시아는 이번 첫 1000만 관객 돌파를 중요한 모멘텀으로 삼아, 2017년 또 한번의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2017년 1월 1월 CGV블리츠에서 아예 CGV로 브랜드 전환을 단행하고 40개 극장 270여개 스크린까지 확대함과 동시에 마케팅 고도화, 특별관 차별화, CSV활성화를 3대 키워드로 질적 성장도 이뤄낼 것"이라고 추후 계획을 밝혔다.
한편, CJ CGV는 2013년 1월, 인도네시아 극장 체인 '블리츠 메가플렉스'의 위탁경영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에 본격 진출, 2015년 8월 'CGV 블리츠'로 브랜드 전환을 했다. 지난 21일에는 블리츠의 지분을 추가 확대, 직간접적으로 경영권의 51%를 확보함으로써 최대 주주로 부상했다. 22일 현재 인니 내 25개 극장, 174개 스크린을 갖춘 CGV 블리츠는 올해 말 27개 극장 185개 스크린까지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