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병사, 사관생도 등 장애보상금 현실화해야"…송희경 의원, 군인연금법 개정안 대표발의

장애보상금 기준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 수준으로 상향

  •  

cnbnews 유경석⁄ 2017.06.14 08:26:44

▲자유한국당 송희경 국회의원 프로필 사진. (사진=송희경 국회의원 페이스북)

자유한국당 송희경 국회의원(비례대표)은 병사와 사관생도 등 장애보상금 지급 기준을 공무원 기준소득월액 평균으로 상향하는 내용의 군인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을 13일 대표발의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의무복무 중인 병사,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이 군 복무 중 후유장해를 입었을 경우 보상금액은 534만 원에서 최대 1604만 원 수준에 불과해 너무 낮다는 지적이 있다. 

반면 장교 등 직업복무 중인 군간부의 경우 맞춤형복지단체보험에 가입하거나 상이연금을 지급받는 등 충분한 수준의 보상을 받고 있어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무 복무중인 병사,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에 대한 장애보상금 수준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군인연금법 개정안은 병사 등 장애보상금 지급의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의 최저 수준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으로 보고 그 수준을 상향했다. 

또 장애등급별 보상 지급 기준을 질병·부상으로 인한 일반장애,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수행으로 인한 특수직무 공상으로 인한 장애, 교전 등을 위한 직무수행으로 인한 전상으로 인한 장애로 세분화했다. 

송희경 의원은 "외국 근무 중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으로 인해 장애보상금을 지급하게 된 경우 금액을 가산해 지급토록 하는 등 보상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사병의 희생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하려는 것"이라고 개정안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군인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송희경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하고 김석기·김정훈·배덕광·김성태·임이자·정성호·성일종·박명재·김태흠·박성중·이주영·신용현·노웅래·조배숙·유재중 국회의원 총 16명이 공동발의했다. 

한편 자유한국당 장제원 국회의원은 2011년 군인연금법 법률 시행 전 퇴직한 군인 중에 복무 중 발생한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장애상태가 확정된 사람에 대해서도 상이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군인연금법을 5월 23일 대표발의했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