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현대차그룹, IT 인프라 활용한 스마트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안전신문고' 및 '안전정보시스템' 양대축으로 그룹차원의 효율적 안전관리 실시

  •  

cnbnews 윤지원⁄ 2017.10.30 11:34:54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안전신문고’를 이용해 현장의 위험 요소를 제보하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각 사업장에서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나 사고 위험 요인 등을 모바일 앱으로 제보할 수 있는 ‘안전신문고’ 및 그룹 계열사의 안전 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안전정보시스템’을 양대 축으로 한 그룹 통합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30일 전했다.

'안전신문고'는 임직원들이 실제 근무하는 작업 현장에서 사고 발생 시 또는 위험 요인 등을 발견했을 경우 스마트폰의 모바일 앱을 활용해 제보할 수 있는 제도다. 신차 정보, 신기술 등의 외부 유출로 인한 보안 문제로 사진 촬영 등이 금지된 사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현대차그룹이 독자 개발한 보안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 앱이 활용되며, 제보는 물론 처리 결과 역시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안전신문고는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불안전 요소를 사고 발전 전에 미리 점검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하는 등의 선제적 위기관리 프로세스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그룹 내 13개 주요 계열사의 생산공장 등 사업장에 적용돼 본격 운영이 들어갔다. (※ 안전신문고 운영 계열사 현황 :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다이모스, 현대파워텍, 현대케피코, 현대제철, 현대비앤지스틸, 현대종합특수강, 현대로템,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 본사, 연구소, 방위산업시설 제외)

‘안전정보시스템’은 기존 안전 관련 그룹 전산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신규 개발한 것으로, ‘안전신문고’와의 연계는 물론 각 계열사의 안전사고 현황 등을 통합 관리하고, 우수 개선 사례, 재해 예방 활동 등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새롭게 구축된 안전정보시스템은 복잡한 구성, 불필요한 메뉴, 수작업과 전산 작업의 이중 관리 등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사용자 관점에서 대폭 개선해 사용 편의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켰다.
 
구체적으로 사고 현황, 발생 요인, 개선 대책, 사전 재해 예방 활동 등 각 계열사의 안전 관련 정보가 상호 공유되는 유기적 시스템을 구축했다.
 
각 계열사의 안전 우수 혁신 사례를 효과적으로 전파함으로써 유사 사고 재발 방지 등 그룹 안전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차원이다. 
 
현대차그룹은 매월 주요 계열사의 안전사고 현황 및 재해 예방 활동을 종합해 우수활동 및 사고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안전신문고와 연동된 시스템 구축으로 사고 발생 시에는 ‘골든 타임’을 확보하는 한편 위험 요인을 사전 점검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 핵심 업무 위주로 메뉴를 단순화하고, 자료 입력 방식의 개선 등을 통해 업무 효율성도 제고했다.

현대차그룹은 안전신문고 및 안전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자율적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작업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