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신규 5G 중계기술 개발…국내 업체와 협업 통한 성과
하이게인안테나·SK텔레시스 등 국내 통신장비업체가 주도…‘한국형 5G 생태계’ 구축 앞장

▲SK텔레콤 연구원들이 서울 강남 5G 시험망에서 ‘다중 전파빔 생성·증폭형’ 중계기를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 = SK텔레콤)
SK텔레콤과 국내 통신장비 업체가 반년간의 협업을 통해 신규 5G 중계 기술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하이게인안테나社와 SK텔레시스 등 국내 통신장비업체들과 함께 5G 초고주파수 대역에서도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 5G 중계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망에 적용했다고 29일 밝혔다.
5G 후보 주파수인 28GHz 대역은 전파의 직진성이 강하고 장애물 우회가 어려운 초고주파수 특유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음영 지역이 없이 촘촘하고 원활한 5G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5G 신호를 증폭해 전파 도달 거리를 늘려주는 중계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SK텔레콤 5G 연구원들은 ▲좌우 90도 방향으로 전파를 반사하는 ‘평면액자형’ ▲볼록거울 원리를 활용해 전파를 굴절시키는 ‘볼록거울형’ ▲다수의 전파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하는 ‘다중 전파빔 생성·증폭형’ 등의 아이디어를 발굴해, 지난 5월부터 국내 통신장비업체와 함께 솔루션 개발에 매진했다.
3사가 지난 6개월 간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 하이게인안테나社는 ‘평면액자형’과 ‘볼록거울형’을, SK텔레시스는 ‘다중 전파빔 생성·증폭형’ 중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된 중계 기술은 SK텔레콤 분당사옥, 강남 및 을지로 등 SK텔레콤 5G 시험망에서 시연을 거쳤다.
SK텔레콤은 이 중 ‘다중 전파빔 생성·증폭형’ 중계 기술을 강남 5G 시험망에 적용했고, 단일 전파 활용 대비 5G 커버리지가 3배 확대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기존 단일 전파빔 중계기의 커버리지는 직경이 약 70m 정도였지만, 다중 전파빔 생성·증폭형 중계기를 적용해 약 200m까지 늘인 것이다.
SK텔레콤은 이로써 5G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차별화된 5G 중계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서울 강남과 경기 성남 분당의 5G 시험망에 실내·외를 아우르는 중계기를 적용해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데도 성공한 바 있다.

▲SK텔레콤과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신규 5G 중계 기술. (그림 = SK텔레콤)
5G 기술 개발, 글로벌 대형회사 아닌 국내 기업이 주체로 나서
이번 사례는 SK텔레콤이 개진한 아이디어를 국내 강소기업이 기술로 구현한 사례로, ‘한국형 5G 생태계’ 확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 글로벌 대형 장비사들이 중심이 됐던 5G 기술 개발이 국내 통신장비 기업으로 확대된 것으로, 앞으로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의 5G 생태계 동참 및 경쟁력 강화 등이 기대된다.
SK텔레콤은 분당에 위치한 5G 혁신센터에서 기술을 연구 중인 다양한 국내 강소기업들이 5G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열린 ‘GSMA 서울 오픈 데이’ 행사에 참여해 ‘5G 인프라 및 융합 서비스’를 발표하고, 국내 통신장비 업계와 함께 개발한 신규 5G 중계 기술도 소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GSMA 서울 오픈 데이’는 GSM 협회(GSMA)*가 국내외 ICT 사업자들을 초청해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콘퍼런스다.
*GSM 협회(GS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는 셀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 방식으로 운용되는 전 세계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그리고 표준화 추구와 관련된 여러 회사가 참여하는 국제단체.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이번에 확보한 신규 5G 중계 기술은 SK텔레콤과 국내 업계가 협력한 대표사례”라며, “앞으로도 개방과 협력을 통해 국내 통신장비업계가 활약할 수 있는 한국형 5G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윤지원 yune.jiwo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