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증시] 하노이 쇼크 이후 길 잃은 남북경협주 앞날은?

답답한 북미 관계…롤러코스트 언제까지

  •  

cnbnews 제631호 손정호 기자⁄ 2019.03.18 10:09:54

지난달 28일 하노이 베트남-소련 우정노동문화궁전 미디어센터에서 취재진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CNB저널 = 손정호 기자) 베트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경제협력 사업을 해온 기업들의 앞날이 불투명하다. 별다른 성과 없이 협상이 끝난 탓에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시가총액이 줄어들고 있는 것. ‘하노이 쇼크’에 비견되는 이번 충격파가 얼마나 이어질지, 해법은 없는지 살펴봤다.

남북경협주는 3월에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후 아직까지 비핵화 협상에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 기존 남북경협 사업을 재개하는 데에도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남북경협과 관련된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이의 정상회담이 결렬된 지난달 28일 하루에만 경협종목(130개) 주가가 평균 10.35%의 추락했다.

130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134조594억원에서 128조4629억원으로 줄었다. 하루 아침에 5조5965억원이 공중으로 사라진 셈. 이는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이 경협주로 거론한 기업들이다.

이날 시총이 가장 많이 줄어든 기업은 아난티였다. 아난티는 금강산에 리조트를 갖고 있다. 이날 하루 주가가 25.83% 하락했다. 시총은 2조3020억원에서 1조7370억원으로 6051억원 증발했다.

특히 아난티는 작년 말 북한에 관심을 보여온 세계적인 투자자 짐 로저스를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그만큼 금강산 관광 등 대북사업에 강한 의지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남북경협주 중 대표적인 대형종목인 현대가(家) 기업들도 하락폭이 컸다. 현대그룹의 창업주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이 1998년 소떼를 몰고 방북해 남북 민간교류의 물꼬를 튼 이후 지금까지 대표적인 대북사업주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현대그룹의 핵심계열사인 현대아산은 대북 7대 독점사업권(철도, 전력, 통신, 댐, 백두산 수자원, 통천비행장, 명승지 관광)을 갖고 있다. 현대아산은 비상장사라서, 현대그룹 내 유일한 상장사인 현대엘리베이터가 경협주로 꼽힌다.

현대엘리베이터는 베트남 쇼크의 날 주가가 18.55% 하락했다. 시총이 5893억원이나 감소했다. 현재(6일 종가 기준) 8만6300원으로 당시보다 9.4% 더 내려갔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건설과 현대로템도 충격을 피하지 못했다. 현대건설은 북한 경수로와 ‘평양 유경 정주영 체육관’을 건설한 경험이 있다. 현대로템은 철도전문기업이다. 남북 철도를 연결하면 사업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 주목받았다.

현대건설과 현대로템도 이날 시총이 각각 8%(5568억원), 12.2%(3060억원) 작아졌다. 아직 내리막길이다. 두 기업은 현재 주가가 5만2700원, 2만3150원으로 각각 7.8%, 10.6% 더 줄었다.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후 더불어민주당은 5일 국회에서 해법을 찾기 위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통일부 장관은 한국의 중재역할이 더 중요해졌으며, 한반도 문제를 더 큰 틀에서 바라보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 손정호 기자

건설업종의 일신석재(-27.3%), 개성공단 입주기업인 좋은사람들(-25.43%), 관광경협주인 용평리조트(-24.83%), 정보통신기기 기업인 한창(-22.71%), 레저업체인 대명코퍼레이션(-22.54%) 등도 주가가 많이 내려갔다.

이들 기업의 주가는 현재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 김상만 팀장(통일경제TF)은 CNB에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너무 높게 제시했다. 북한 입장에서는 대화의 장으로 다시 나오는데 조금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남북경협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막막한 남북경협, 해법 없나

이처럼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관계를 앞으로 전진시킬 수는 없을까.

더불어민주당 한반도경제통일교류특별위원회는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길을 찾기 위한 세미나를 열었다. 홍영표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 20여명과 국내외 취재진, 시민 200여명이 몰렸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했지만 북한과 미국은 서로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알게 됐다”며 “앞으로 한국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단계적인 접근’을 강조했다. 조 장관은 “베트남에서 북미 정상이 연락사무소 설치와 미군 유해 송환 등을 합의했다”며 “평화체제로 다가가는데 조금 더 접근했다. 앞으로가 본격적인 시작이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한반도 문제는 단순한 비핵화가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체제를 구축한다는 큰 그림으로 다가가야 한다”며 “대북제재 속에서도 진행할 수 있는 사업부터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철도와 도로 연결(사안별로 제재 면제 신청), 산림협력,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편찬 등이 그 예다.

아울러 작년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서해경제공동특구, 동해관광공동특구를 만들기 위해 경제시찰단을 꾸려 연구하는 것도 우선 할 수 있는 일로 꼽았다.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해 우리 기업인들의 방북이 잘 이뤄지도록 UN과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 남북이 다양한 창구를 통해 접촉해야 한다고 봤다. 북미관계가 멈춘 상태에서는 남북관계의 진전이 이전보다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와 동시에 북미협상이 전개되도록 우리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새로운 경제협력체계와 동북아 평화 질서를 만들기 위해 여러 실무작업을 하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