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데스크 칼럼] 박근혜 사면으로 보는 후보 감별법 … 대통령이 하고픈가, 일이 하고픈가

  •  

cnbnews 제714호 최영태 이사⁄ 2021.12.30 10:22:25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전격 사면 뒤 ‘대선 판에 그가 어떤 발언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논하는 논평들이 있으나 과연 그럴까.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의 발언에 영향을 받을 유권자는 별로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박 전 대통령은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가 폭로되던 2016년 11월 4일 2차 대국민 사과 때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라고 탄식했다. 지금 시점에서 묻고 싶다. ‘도대체 당신은 뭘 하려고 대통령 직에 도전했으며, 임기 중에는 뭘 추구했냐’는 질문이다.

10년 전 2012년 대선을 며칠 앞둔 시점에서 보수 유력지의 전직 기자들과 저녁 식사를 했다. 십여 명이 모인 가운데 일부는 당시 이른바 ‘박근혜의 세 비선 캠프’에 소속돼 있었다. 이들은 입을 모아 “박근혜가 당선돼야 하는데” “그래야 우리 회사가 잘 되는데”라면서 자신의 이익과 박근혜 당선을 연결시켜 말했다.

물론 모든 대선은 이런 식으로 치러진다. 전국민이 아는 유력 후보로 내세운 뒤 당선시켜 사후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들의 전면전이 한국의 대선이다. 그러나 후보로 내밀어진 인물이 정말로 대통령 직을 원했는지, 아니면 특정 세력이 (이득을 보기 위해) 그 후보를 이른바 얼굴마담으로 밀어올렸는지는 역대 대통령들에게서 상당한 수준차가 감지된다.

초대 이승만 대통령은 스스로를 ‘조선의 왕족’으로 자처했고, “나 아니면 대통령 안 돼”라는 고집 탓에 다툼도 많이 일으켰다. 대통령이 되는 것 자체가 목표였는지 취임 뒤 농지개혁 등 일부 업적이 없지 않았으나 결국 부정부패와 부정선거로 4.19혁명이라는 철퇴를 맞았다.

현대 한국을 일군 박정희 전 대통령은 조금 달랐다. 쿠데타라는 부당한 방법으로 대통령이 됐지만, 그의 당시 국회 시정연설 등을 보면 경제 수치가 너무나 촘촘히 배치돼 있어 ‘사실상의 왕’이 된 뒤에도 경제개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펼쳤음을 읽을 수 있다. 대통령이 되는 것이 최종 목적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24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특별사면 뉴스가 방영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군부독재의 마지막 두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 사이에도 상당한 차이가 느껴진다. 전두환은 12-12 쿠데타라는 불법적 방법으로 대권을 차지했고 “경제는 잘 했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이에는 당시 불어온 ‘3저 호황’이 큰 기여를 했고, 경제만은 김재익 경제수석 등에게 맡김으로써 이들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적 경제 재편에 성공한 덕이었다. 전두환은 대통령이 된 뒤에 이렇다 하게 추구한 목표가 있었다고 하기 힘들다.

그 뒤를 이은 노태우 대통령은 조금 달랐다. 검찰을 동원한 공안통치라는 과오가 있었지만, 북한과의 관계개선과 북방외교를 서둘러 나라의 진로 방향을 바꾼 공로가 있다. 대통령이 된 뒤에도 한 일이 분명 있다.

이어 김영삼 전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기 위해 전통 야당을 군부독재 정당과 합당시키는 무리수까지 동원했다. 대통령이 된 뒤 군부 하나회 숙청과 금융실명제 등의 업적도 있었지만 즉흥적인 국정 운영으로 결국 IMF 외환위기라는 망국 사태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그때 만들어진 양극화 고통은 아직도 이어진다.

이후 김대중-노무현 두 ‘민주 정권’은 공과가 있다. 김 대통령은 IT 산업 발전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노 대통령은 탈(脫)권위주의와 남북관계 개선 등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겼다.

밀어올리는 배후조종세력이 있는가 없는가

그 뒤가 문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압도적 표차로 당선됐지만 “한국 토건업계가 밀어올린 대통령”이란 평가 그대로 취임 뒤 토건업계를 중심으로 ‘나라를 해체해 사익을 취하는’ 행태를 보였다. 만사형통(만사는 형을 통한다)는 말이 횡행할 정도로 그를 배후조종하는 세력이 컸다.

박근혜 대통령은 후보 때 경제민주화를 논하고 전태일 동상에 참배하면서 일부 개혁적 면모를 보였고 큰 기대를 안고 출범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일 뿐이었다. 박정희-육영수 두 부모가 총탄으로 스러지고 전두환에게 배신당했다고 여겨 두문불출하고 살던 박근혜를 세상으로 끄집어 올린 것은 극우-군부독재의 잔당들이었다. 박근혜는 이들 배후세력들이 시키는 대로 훌륭하게 연기를 마치고 청와대에 입궁한 뒤에는 ‘당신들 하라는 대로 다 했고 이뤄줬으니 이제 쉴래’라고나 할 만한 태도를 취했고, 그를 대통령으로 밀어올린 배후세력들은 ‘나라 뜯어먹기’에 매진했다.

박근혜 후보 시절에 한 변곡점이 있기는 했다. 바로 김영삼 전 대통령(YS)의 “칠푼이가 뭘 한다고”라는 혹평이었다. YS에 대한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 상태였지만 그래도 전직 대통령의, 그리고 박 후보를 근접 관찰한 원로의 귀중한 경고였지만 한국 언론들은 가십거리로 다루면서 웃고 지나갔다.

YS의 중대한 경고를 가십 취급했던 우리 언론들은 지금 제대로 역할하고 있나? 10년 전 그때나 지금이나 “특정 후보가 당선돼야 우리 회사에 이익이 되는데”라면서 궁리만 하고 있는 건 아닌가?

언론들이 사리사욕에 몰두할수록 국민들이 정신을 차려야 한다. 나라가 휘청거리면 아랫사람부터 죽어나가기 때문이다. 지금 나온 후보 중 취임 뒤 일에 집중하는 후보는 누구이며, 반대로 배후세력이 있어서 대통령 직이 최종 목표인 후보는 누구인가? 실패하지 않을 대통령을 뽑는 좋은 감별법이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