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최근 국내 언론이 우크라이나 수도를 ‘키예프(Kiev)’ 대신 '크이우(Kyiv)'로 표기하는 이유

우크라이나 대사관 "키예프(kiev)는 침략국 러시아어 발음으로 크이우(Kyiv)로, 크림반도는 크름반도로 표기해야"

  •  

cnbnews 양창훈⁄ 2022.03.03 10:34:04

우크라이나는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지명을 '우크라이나어' 발음으로 표기해달라고 요청했다. 사진 = 우크라이나 대사관 공식 페이스북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우크라이나 지명이 침략국 러시아어 발음으로 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지명은 우크라이나어 발음으로 표기해달라”라고 전하며 정정을 요청했다.

대사관은 1일 공식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침략국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왜곡하고 비하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국권을 뺏으려고 하고 있다”라며 분노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여러 지역의 지명이 침략국인 러시아어 발음으로 한국에서 표기되고 있단 사실은 우크라이나인에게 커다란 상처와 아픔이 되어 왔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사관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크라이나 지명을 우크라이나식 발음으로 표기할 것을 요청했다. 우크라이나 대사관에 따르면, 수도 키예프(Kiev)는 크이우(Kyiv)로, 크림반도는 크름반도가 바른 표기법이다.

이외에도 ▲드네프르(Dnieper)는 드니프로(Dnipro) ▲루간시크(Lugansk)는 루한시크(Luhansk) ▲하르코프(Kharkov)는 하르키우(Kharkiv) ▲체르니고프(CHernigov)는 체르느히우(Chernihiv) ▲키예프 루시(Kievan rus) 공국은 크이우 루시(Kyivan rus) 공국 ▲니콜라예프(Nikolayev)와 리보프(Lvov)는 각각 므콜라이우(Mykolaiv)와 르비우(Lviv)가 바른 표현이다.

관련해 네티즌들은 “키예프가 러시아어 표기법인 줄은 몰랐다. 우크라이나 대사관에서 알려준 표기법대로 사용할 것이다”, “현지어의 발음이 맞다. 우리가 독도를 일본식 발음으로 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듯 우크라이나 영유권에 있는 지명은 우크라이나어 발음이 정당하다”, “ 지금부터 라도 우크라이나의 발음법과 표기법으로 부르고 적는 일이 일어났으면 좋겠다”, “하루라도 빨리 러시아의 철군이 이뤄져야 한다”, “전쟁이 빠르게 끝났으면 좋겠다”, “우크라이나에 평화가 이뤄졌으면 좋겠다” 등 다양한 의견을 남겼다.

 

한편 대다수의 국내 언론들은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를 우크라이나 지명 표기 시 반영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대사관이 1일 페이스북을 통해 러시아어 발음으로 표기된 우크라이나의 여러 지명을 우크라이나식 발음으로 표기할 것을 요청했다. 사진 = 우크라이나 대사관 페이스북 계정
관련태그
키예프  크이우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