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글로벌 한류 팬, 1년 사이 29% 급증 '1.5억 명' 넘었다!…BTS‧‘오징어게임’ 등 전방위적 인기

한국국제교류재단, ‘2021 지구촌 한류 현황 보고서’ 3일 발간…미주 지역 1년 만에 배로 증가‧유럽은 소폭 감소

  •  

cnbnews 윤지원⁄ 2022.03.03 11:53:58

세계적인 K팝 그룹 방탄소년단. (사진 = 빅히트엔터테인먼트)

한류가 글로벌 트렌드라는데, 전 세계에 ‘한류’의 팬은 얼마나 많은 걸까?

3일 발간된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1 지구촌 한류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 세계 한류 팬은 116개국 약 1억 5660만 명이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빌보드 차트 정상권을 휩쓰는 등 K-팝이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고,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이 84개국에서 1위를 차지한 이후 ‘지옥’, ‘지금 우리 학교는’ 등으로 이어진 K-드라마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결과다.

재단은 재외공관 150여 곳과 협력해 조사했으며, 각국의 한류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와 오프라인 동호회 회원, 소셜미디어(SNS) 가입 회원, K팝 앨범 판매 사이트 가입자 등을 바탕으로 한류 팬 수를 산출했다. 음악,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관광, 음식, 한국어, 미용, 문학, e스포츠, 전통문화, 웹툰, 태권도 등 주요 한류 키워드를 토대로 활동 회원 수를 집계한 뒤 이를 더한 결과다.

1억 5천만 명은 집계를 시작한 후 처음 1억 명을 돌파했던 전년(2020년 말) 대비 29% 급증한 수치이며, 처음 조사를 시작했던 2012년의 926만 명과 비교하면 10년 동안 17배나 늘어난 수치다.

초기부터 한류 열풍이 이어져 온 아시아 지역의 한류 팬은 1억 1575만 명으로 전년(9544만 명)대비 21% 증가했다.

 

'2021 지구촌 한류현황' 보고서. (사진 = 한국국제교류재단)
연간 지구촌 한류 팬(동호인) 및 동호회 수 증감 추이. (이미지= 한국국제교류재단)

 

연구진은 “일본의 혐한류와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사태를 비롯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등 잇단 악재에도 급성장을 이뤄 한류 열풍 위축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며 “중국과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호주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한류 팬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 미주 지역은 K팝의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전년(1459명) 대비 102%나 증가한 2888만 명으로 집계되며 1년 사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주 지역의 한류 팬은 절반 이상이 미국에 있었고, 아르헨티나와 페루 등은 남미 한류 열풍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등 아프리카·중동 지역은 전년(112만 명)보다 92% 급증한 233만 명으로 집계됐다. 중동 지역은 인터넷 접근성이 낮고 문화·종교적으로 높은 진입 장벽 탓에 한류 동호회 활동이 활발하지 않았음에도 가나, 팔레스타인, 카메룬 등 이번 집계에 새로 포함된 국가가 다수 있는 점 등으로 미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유럽은 유일하게 소폭 하락세를 기록했다. 유럽의 한류 팬은 2020년 1056만 명에서 2021년 963만 명으로 8.8%(93만 명) 감소했다. 재단 측은 한류 열풍이 거세지는 만큼 부정적 인식도 다소 나타날 수 있다면서 지나친 상업성이나 문화 제국주의 등 비호감 요인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 문화경제 윤지원 기자 >

관련태그
한류  방탄소년단  BTS  한국국제교류재단  오징어게임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