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용호⁄ 2022.04.13 11:48:39
이사나 새 제품 구입 시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었던 침대, 메트리스, 장롱, 냉장고, 피아노 등 대형폐기물 처리가 손쉬워 진다. 특히 1인가구의 경우, 배출 장소까지 운반 자체가 어려워 그동안 배출 자체를 미루는 경우도 있었다.
서울시는 13일, 25개 자치구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형폐기물 배출 기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1인가구를 위한 고중량 대형폐기물 배출지원 서비스 자치구 시행, 자치구별로 다른 대형폐기물 신고 절차, 수수료 등 적정안을 마련해 시민 불편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1인가구, 노인가구를 위해 ‘고중량 대형폐기물 배출지원 서비스’를 도입한다. 냉장고, 장롱 등 무거운 대형폐기물을 가정에서부터 배출장소까지 운반해주는 서비스이다. 현재 4개 자치구(강서구, 마포구, 구로구, 서초구)는 이 서비스를 모바일앱을 통해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서비스가 전 자치구에서 시행되면 1인가구 또는 노인가구의 대형폐기물 배출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주민센터 등을 직접 방문해 신고필증을 교부받아 대형폐기물에 부착해야 했던 번거로움도 없앤다.
현재 종로구 등 13개 자치구는 구 홈페이지에서 신고필증을 발급받거나 동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 대형폐기물에 부착해야 했다. 성동구 등 5개 자치구는 구 홈페이지에서 신고필증을 발급받거나 동주민센터에 전화로 신고 후 신고번호를 대형폐기물에 기재하는 방식을 시행하고 있어 배출 절차가 불편하다는 시민들의 민원이 있었다.
이에 서울시는 중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서대문구, 마포구, 송파구 등과 같이 신고번호만 기재하는 방식으로 상반기 중 모든 자치구가 변경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같은 품목의 폐기물이더라도 자치구별로 다른 배출수수료 기준을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현재 서울시는 적정 배출수수료 가이드라인 연구를 진행 중이며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수수료를 책정하고 올해 안으로 전 자치구에 제시해 자치구별로 다른 기준을 통일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관련해 정미선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1인가구, 노인가구를 위해 ‘고중량 대평폐기물 배출 지원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고 합리적인 대형폐기물 분리배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시행하겠다”라며 “그동안 대형폐기물 배출에 어려움을 느꼈던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