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한국은행 또 다시 '빅 스텝', 주식시장에 미친 영향은?

한은 역사상 최초의 다섯 차례 연속 금리 인상, 내년 초까지 추가 인상 가능성 시사

  •  

cnbnews 김예은⁄ 2022.10.12 18:29:14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은행이 7월 이후 석 달 만에 또 다시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밟았다. 뛰는 물가와 환율을 잡기 위한 조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2일 오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0.50%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고, 4·5·7·8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금리 인상도 한은 역사상 최초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통화정책 방향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기준금리가 연 3.50%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대해 "다수 위원이 말한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3.00%로 0.50%포인트 올린 데 이어 내년 초까지 0.50%포인트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날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총재는 5% 이상의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 금리 인상 기조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11월 금리 인상 폭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11월 금통위 이전 많은 요인이 시장에 주는 영향을 보고 11월 인상 폭을 결정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또한 한은의 물가 전망에 따르면 내년 1분기까진 5%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3개월, 즉 내년 초까지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5%를 상회하는 높은 물가 오름세가 있으면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는데, 이는 5% 이상의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 기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우리나라에 나쁜 영향 줄 수 있기 때문에 물가 중심의 경제정책을 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5%는 미래를 바라보는 숫자로, 5%에서 소폭 떨어졌다고 해서, 금리 인상 기조가 사라지고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기계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경계했다.

 

또한 오늘(12일) 50bp(1bp=0.01%포인트)의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누적 1% 하락으로 예측했다. 지난 8월부터 금리가 250bp 오른 건데, 한은 계량모델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까진 물가 상승률을 누적 1%포인트 정도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경제성장률은 추가 50bp 인상이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전후로 낮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하면 이자 부담은 가계와 기업을 합쳐 약 12조2천억 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관측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인상이 주택시장 준 영향에 대해 부동산 가격이 지난 1∼8월 실거래가 기준 3∼4% 정도 떨어진 걸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 총재는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빚을 내 집을 산 많은 국민의 고통을 고려하며 많은 고민을 하고 있지만, 반대로 보면 지난 2∼3년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르고 가계부채가 늘어 금융 불안의 원인이 된 점을 고려할 때 거시 경제 전체로는 안정에 기여하는 면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총재는 "취약계층의 이자부담에 대해 고통이 크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시적으로 일단 물가를 잡는 게 우선이고, 물가가 어느 정도 잡히면 성장 정책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빅스텝 단행에도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2200대를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0.4포인트(0.47%) 상승한 2202.47로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이 2358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달러·원 환율이 전날보다 10.3원(0.72%) 내린 1424.9원으로 하락한 점이 외국인 순매수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

관련태그
기준금리  빅스텝  금리 인상  코스피  한국은행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