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을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하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전자 및 관계사들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이외 지역에 대한 전방위적인 투자에 돌입한다는 것. 또 신입사원 공채 등 직접 채용 외에도 다양한 사회공헌사업(CSR)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 기여할 계획이다. 삼성은 협력회사와의 상생을 위한 실질적 자금 지원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상생펀드와 ESG 펀드를 적극 운용하고 협력회사에 지급하는 인센티브도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평택 2단지에 새롭게 조성되는 5라인은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5라인이 가동되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국내 반도체 생태계에서 평택사업장의 전략적 위상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삼성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외 지역에 첨단 산업과 AI 관련 투자를 크게 늘린다. 먼저, 삼성SDS는 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남에 국가 AI 컴퓨팅센터와 구미 AI데이터센터 등 다거점 인프라 전략을 추진한다. 전남 센터는 2028년까지 1.5만장 규모의 GPU를 확보하고 학계, 스타트업 등에 공급하며 정부의 AI G3 목표를 뒷받침한다. 경북 구미 1공장에도 AI 특화 데이터센터를 리모델링하여 2028년 완공할 계획이다.
또, 삼성전자는 인수한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의 한국 생산라인 건립을 통해 AI데이터센터 시장을 공략한다. 플랙트는 한국 진출을 위해 광주광역시에 생산라인 건립을 검토 중이며 인력 확충도 추진한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울산 사업장에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며, 최근 독일 BMW와 실증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 중인 8.6세대 IT용 OLED 생산 시설에서 내년 중순경 제품을 본격 양산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생산 기지인 부산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부산사업장에서는 서버용 패키지기판(FC-BGA)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양산 중이며, AI 가속기용 신규 고객사 다변화를 강화한다.
삼성은 향후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직접 채용 외에도 청년 실업 해소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청년 교육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직/간접적으로 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또, 삼성은 1~3차 협력회사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설비투자, 기술개발, 운영자금 등에 필요한 자금 대출을 저리로 지원하고 있다. 올 상반기 현재 1051개사에 2조 321억원을 지원 중이다.
이외에도 중소/중견 협력회사에 대한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은 물론, ESG 경영 전환을 돕기 위해 2024년부터 협력회사의 안전/환경 투자 비용에 대해 무이자 대출 지원도 진행 중이다. 삼성은 우수 협력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까지 총 8146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했다.
<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