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김진태 귀국 .. 정부 개입에도 불구, 자금시장 불안한 흐름 이어져

“레고랜드 사태로 신뢰 깨져 금리 오름세 지속”… 키움증권 “시장 안정엔 美연준 조치 관건”

  •  

cnbnews 김응구⁄ 2022.10.28 12:27:42

자금시장 경색 완화 조치가 잇달아 등장하고 있지만 시장은 아직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모습. 사진=연합뉴스

베트남 출장 일정을 하루 앞당겨 귀국한 김진태 강원지사가 27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좀 미안하다. 어찌 됐든 전혀 본의가 아닌데도 이런 식으로 흘러오니까 미안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원도의 2050억 원 채무보증 불이행으로 벌어진 레고랜드 부도 사태가 금융권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50조 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대책을 내놓은 데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지사는 “가을에 늘 해오던 2차 추경을 취임 후에는 하지 않고 아껴놓은 게 있다”며 “재정 상황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떻게든 자금을 마련해서 12월 15일까지 갚겠다”고 밝혔다.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27일 오후 귀국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정부가 자금시장 경색을 완화하고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으나 시장은 아직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AA- 등급 무보증 회사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6.7bp(1bp=0.01%포인트) 오른 연 5.620%로 마쳤다. BBB- 등급 무보증 회사채 3년물 금리도 6.2bp 상승한 11.466%로 마감했다.

91일물 기업어음(CP) 금리는 4bp 오른 4.55%로 연고점을 기록했다. 3년 만기 한전채와 1년 만기 산금채 금리도 각각 5.701%, 4.725%로 상승했다.

연합뉴스는 기업금융(IB)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 “현재 기준금리가 연 3%인 것을 고려할 때 국고채 금리는 4%, CP 금리는 3.5%를 넘지 않는 것이 정상적”이라며 “이전부터 채권시장이 부담을 느끼던 상황에서 레고랜드 사태로 신뢰가 깨지자 금리 오름세가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또 이날 시장에서 여전히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들은 외면받았다. 특히, 3년물로 510억 원의 수요예측을 했던 통영에코파워(A+)는 전량 미매각 사태를 맞았다. 7%에 육박하는 금리를 내세웠으나 투자자를 찾지 못했다.

키움증권은 28일 금융당국의 단기자금시장 안정화 조치들과 관련, ‘관건은 미국의 금리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라고 진단했다.

키움증권 측은 “채권시장은 여전히 투자심리가 회복되기에는 가장 큰 전제조건이 변화하지 않았다”며 “결국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월 FOMC에서 어떤 시그널을 주는지가 관건”이라고 주장했다.

연준은 내달 1∼2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 인상 폭을 결정한다. 시장에선 연준이 0.75%포인트 올리는 것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문화경제 김응구 기자>

관련태그
김진태  레고랜드  채권시장  키움증권  미연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