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윤 대통령 “국가 R&D예산 조정으로 마련한 3조 4천억을 취약계층에 두텁게 지원”

R&D 삭감 탓 과기 인력 고용불안에 대해선 "정부가 보완책 마련”

  •  

cnbnews 최영태⁄ 2023.10.31 10:30:23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국회 본회의에서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년도 정부 예산에서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이 3조 4천억 원이나 감액된 것에 대해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31일 오전 10시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이에 관해 설명했다.

대통령은 문재인 직전 정부 시절의 R&D 예산에 대해 “2019년부터 3년간 20조 원 수준에서 30조 원까지 양적으로는 10조 원이나 대폭 증가하였으나,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서는 질적인 개선과 지출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았다”고 지적한 뒤 “국가 R&D 예산은 민간과 시장에서 연구 개발 투자를 하기 어려운 기초 원천 기술과 차세대 기술 역량을 키우는 데 써야 한다. 이번 예산안에는 첨단 AI 디지털, 바이오, 양자, 우주, 차세대 원자력 등에 대한 R&D 지원을 대폭 확대했다”고 연설했다.

이어 “원천 기술, 차세대 기술, 최첨단 선도 분야에 대한 국가 재정 R&D는 앞으로도 계속 발굴 확대하여 미래 성장 동력을 이끌겠다”며 “아울러 중소기업들이 자금 여력 부족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기술 개발 분야와 인공지능, 머신러닝, 자율주행 등의 딥테크 분야에 대한 R&D 투자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R&D 예산은 향후 계속 지원 분야를 발굴하여 지원 규모를 늘릴 것이지만, 일단 이번에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된 3조 4천억 원은 약 300만 명의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을 더 두텁게 지원하는 데 배정했다”고 연설했다.

구체적으로는 “총 123만 기초수급 가구에 가구당 최대 21만 3천 원을 인상하여 총 1조 5천억 원의 생계급여를 더 지급할 수 있게 되었다”며 “월 21만 원의 양육비를 지원하는 한부모 가족의 소득 기준을 완화하여 추가로 3만 2천 명에게 양육비를 지원하고, 다문화 가정 자녀 6만 명에게 연간 최대 60만 원의 교육활동비를 새로 지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저소득층 대학생 67만 명의 장학금을 평균 8% 인상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줄어든 R&D 예산 탓에 일어날 과학기술 인력의 해고 등에 대해서는 “국가 재정 R&D의 지출 조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고용불안 등 우려에 대해서는 정부가 세심하고 꼼꼼하게 챙기고 보완책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시정 연설을 위해 국회 의사당으로 들어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관련태그
시정연설  R&D예산  과기예산  2024예산  예산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