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특례보금자리론’ 인기에… ABS 발행액 전년比 50% 급증

금감원, 2023년 ABS 등록발행 실적… 주금공 19.8조‧은행 3.1조 늘어

  •  

cnbnews 한원석⁄ 2024.01.30 12:08:37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1년 새 22조 원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금융공사(주금공)이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이 선풍적인 인기를 끈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발표한 ‘2023년 ABS 등록발행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유동화계획을 등록하고 발행한 ABS는 총 66조1000억 원으로 전년(44조 원) 대비 50.2%(22조1000억 원) 증가했다. ABS는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보유한 대출채권·매출채권·부동산 등의 자산을 기초로 발행된 증권을 말한다.

자산보유자별로 보면 주금공은 2022년 보다 115.1%(19조8000억 원) 급증한 37조 원의 MBS를 발행했다. MBS는 주금공이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ABS로, 지난해 1월 서민·실수요자의 금리변동 위험경감을 위해 한시적으로 도입한 특례보금자리론을 기초로 한 MBS 발행 등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금융사의 ABS 발행액은 20조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8%(2조2000억 원) 증가했다. 은행은 부실채권(NPL)을 기초로 5조1000억 원, 증권사는 기업 회사채 등을 기초로 5조5000억 원을 발행하며 전년 대비 각각 155.0%와 1.9% 발행액이 늘었지만, 카드채권 등을 기초로 여신전문금융이 발행한 ABS는 전년보다 10.6%(1조2000억 원) 줄어든 10조1000억 원에 그쳤다.

일반기업은 단말기할부대금채권·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기초로 전년(8조2000억 원)과 비슷한 수준인 8조1000억 원을 발행했다.

기초자산별로 보면 대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은 증가한 반면, 매출채관 기초 ABS와 해사채 기초 P-CBO 발행은 감소했지만 매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은 늘어났다.

대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는 전년 대비 108.4%(23조2000억 원) 증가한 44조6000억 원이 발행됐다. ▲MBS 37조 원 ▲NPL 기초 ABS 5조5000억 원 ▲부동산 PF 기초 ABS 1조9000억 원 ▲중소기업 대출채권 기초 CLO(대출채권 담보부증권) 1000억 원 등이다.

매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는 전년 대비 6.4%(1조1000억 원) 감소한 16조2000억 원 발행됐다. ▲카드채권 기초 ABS 4조6000억 원 ▲할부금융채권 기초 ABS 5조4000억 원 ▲기업매출채권 기초 ABS 6조2000억 원 등이다.

기업회사채 등을 기초로 한 P-CBO 발행액은 전년 대비 1.9%(1000억 원) 감소한 5조3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P-CBO는 직접 회사채를 발행하기 힘든 기업의 자금조달을 돕기 위해 신용‧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통해 신용보강을 한 뒤 발행하는 자산담보부증권의 일종이다.

금감원은 “고금리 기조 및 경기 둔화에 따른 금융권 연체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NPL 기초 ABS 발행이 전년 대비 175.0% 급증했다”면서 “할부·리스채권 기초 ABS의 발행은 증가했으나 카드채권 기초 ABS 발행 감소에 따라 여전사 ABS 발행은 전년 대비 10.6%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문화경제 한원석 기자>

관련태그
ABS  주금공  특례보금자리론  NPL  P-CBO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