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4월 프로그램 소개

화사하게 만개한 봄꽃처럼 다채로운 전시품 이야기

  •  

cnbnews 안용호⁄ 2025.04.01 14:00:52

다카무라 고운  기예천  일본 20세기 전반.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3월 21일 새롭게 조성한 감각전시실 공간_사이를 비롯한 상설전시실 전시품의 다양한 이야기를 큐레이터와의 대화로 만나볼 수 있다.

감각 전시실 울림. 사진=국립중앙박물관

한국의 범종 소리가 주제인 다감각 체험 전시 ‘공간_사이’는 지난 3월 21일에 새롭게 조성되었다. 상설전시관 조각공예관 3층 금속공예실과 청자실 사이에 위치하며, 두 전시실 사이 공간이자 여러 관람객들 사이를 이어주는 의미를 담았다. 범종의 소리의 원리를 시각, 청각, 촉각으로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실제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에 기반한 미디어아트를 만나볼 수 있다. 이곳에서 4월 16일 <종소리의 과학>을 주제로 소리가 전파되는 원리와 맥놀이 현상에 관한 이야기 등을 다감각을 활용해 느껴볼 수 있다. 4월 30일 <범종 다감각 체험 ‘울림’> 주제로 공간을 직접 기획하고 조성한 담당 큐레이터가 진행하여 전시실 조성까지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강서대묘 모사도 황룡  고구려.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재개관 이후 지금까지 많은 관람객의 관심 속에 운영 중인 선사고대관도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여러 주제로 마련했다. 4월 첫째 주 청동기실 <청동 기술의 정점, 다뉴세문경>에서 청동 거울에 담긴 선사인의 정밀한 기술에 대해 만날 수 있다. 4월 둘째 주에는 고조선·부여·삼한실에서 <낙랑 문화의 형성과 변용>을 주제로 새로움과 전통의 융합을 바탕으로 형성된 낙랑 문화와 석암리 9호 무덤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낙랑 문화의 전성기에 대해 들어볼 수 있다. 4월 셋째 주 고구려실 <삶과 죽음의 경계, 고구려의 무덤>에서 대형 돌무지무덤의 구조와 고구려 벽화에 관한 이야기를 종합하여 만나볼 수 있다. 4월 넷째 주에는 고조선·부여·삼한실에서 <삼한의 철기문화>라는 주제로 철기 전시품들이 각각 어떤 용도와 목적에서 사용되었는지 자세히 들어볼 수 있다.

금관  신라 5~6세기  국보.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그 외에도 선사고대관 가야실에서는 4월 2일 <고대 한국과 일본의 교류>와 4월 30일 <가야와 순장>를, 신라실에서는 4월 9일 <화려한 금제품, 어떻게 만들었을까요?>를 진행한다. 중·근세관 조선1실에서는 <조선 초기 왕실의 불교신앙>에 대해 들을 수 있다.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에서는 4월 2일 <조선시대의 불교조각>, 4월 23일 <금속으로 만든 불상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청자실에서는 4월 9일 <상형청자>를 진행한다. 서화관 서화실에서는 4월 9일 <서울을 그린 그림>, 4월 23일 <조선말기 이후의 서화>가 진행된다. 세계문화관 일본실에서 4월 2일 <에도 마지막 불사佛師 다카무라 고운(高村光雲)의 기예천>을, 중국실에서 4월 16일 <중국회화로 본 문인文人 취향>을 들을 수 있다. 기증관 기증2실에서 4월 16일 <박물관과 나를 잇다>를, 기증4실에서 4월 30일 <유강렬과 현대판화>를 진행한다. 어린이박물관에서는 4월 16일 <재질로 보는 문화유산 속 마음>을 들을 수 있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대화  화려한 금제품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서울을 그린 그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