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AI 기술을 접목한 자체 분석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경찰과의 협업을 강화한 결과, 지난 3개월간 약 2천억 원 규모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LG유플러스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자사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통해 악성 앱 5,090건을 탐지하고 관련 정보를 경찰청에 제공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피해자 주거지를 방문해 악성 앱을 삭제하고 범죄 조직 추적에 나섰다. 이로 인한 잠재적 피해 차단 규모는 약 2,087억 원으로 추산된다.
해당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보이스피싱 조직의 활동을 감시하며, 분석 결과를 정기적으로 경찰에 공유한다. 특히 악성 앱은 주요 감시 대상이다. LG유플러스는 자체 테스트베드나 유관 기관을 통해 악성 앱을 확보해 분석하고, 제어 서버 탐지 및 차단 등의 보안 조치를 수행 중이다.
또한, 업계 최초로 서울경찰청과의 현장 공조 체계를 구축해, LG유플러스 직원이 경찰과 함께 고객을 직접 방문, 보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보이스피싱 수법이 지능화됨에 따라, LG유플러스는 변조·조작된 착신전환 번호 추적과 불법 중계기 탐지 등도 병행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02’나 ‘1588’ 번호로 위장해 피해자의 통화를 ‘070’ 인터넷 전화로 착신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범행을 이어간다. 이를 차단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최종 착신번호를 추적해 경찰에 제공 중이다.
또 해외 조직이 사용하는 ‘발신번호 변작 장비(SIM box)’도 분석해 단말기 식별번호(IMEI)를 확보, 경찰 수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지난해에만 1만7,000건 이상의 통신이 차단됐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갈수록 진화하고 있어, 고객 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응이 더욱 중요하다”며 “AI 기반 보안 시스템 고도화와 경찰 협업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