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 기술의 핵심인 AI 기반 무선망 최적화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검증에 성공, 사용자별 맞춤형 네트워크 최적화가 가능해졌다고 26일 밝혔다.
양사의 공동 연구는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와 삼성전자 선행연구조직인 삼성리서치가 참여했으며, 실통신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기술 효과를 검증했다. 하반기에는 테스트베드 실증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도 본격 점검할 계획이다.
기존 이동통신망은 하나의 기지국(Cell)에 연결된 다수의 단말기에 동일한 설정을 일괄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KT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술은 사용자별 신호 안정성과 네트워크 이용 환경을 실시간 분석해, 각각에 최적화된 설정을 자동으로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사용자의 이동 및 사용 패턴을 학습해 과거 접속 문제 상황을 사전 예측하고 방지하는 기능도 탑재돼 있어, 통신망 품질의 체감 개선이 기대된다. 이 기술은 AI-RAN이라 불리는 AI 기반 차세대 무선망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AI-RAN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 정보를 실시간 주고받으며, 스스로 설정을 조정하고 장애를 예측·대응할 수 있는 자율형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번 성과는 6G 인프라의 핵심인 AI-native 네트워크 구현에 한 발 더 다가선 것으로 해석된다.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부사장)은 “AI 기술이 실제 통신망 품질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입증한 사례”라며 “양사 간 협력을 바탕으로 통신과 AI 융합의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이번 성과는 AI 기반 무선망 기술이 현실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향후 6G를 선도할 기술 확보를 위해 양 기관이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