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서울시의회 남창진 의원, 서울소방재난본부 2026년 예산심의 한강안전시스템운영 중점 지적

한강 자살예방 CCTV 설치사업 예산만 받아 놓고 업체 간 다툼으로 사업 지연... 전통시장 화재순찰로봇 소방 정체성 부족, 시민이 알아볼 수 있게 개선 필요

  •  

cnbnews 안용호⁄ 2025.11.27 10:09:58

남창진 의원. 사진=서울시의회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26일 열린 2026년도 서울소방재난본부 예산 예비심사에서 한강 안전 시스템 운영, 전통시장 화재순찰로봇, 구급대 전문화 대체인력 처우 등 핵심 안전 사업들의 추진 미흡과 예산 관련 문제를 집중 지적했다.

남창진 의원은 올림픽대교, 월드컵대교, 구리암사대교 등 한강 안전 CCTV 설치 사업이 업체 간 법률적인 다툼으로 중지됐으며 3년 가까이 지연된 문제를 언급하고 강하게 질타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입찰 과정에서 기술인증 조건 차이로 1위 업체와 차순위 업체 간 소송이 발생해 예산을 집행하지 못하고 불용될 가능성까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 11억 5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한 ‘한강안전시스템 운영’사업이 한강 자살 예방이라는 중대한 사업임에도 입찰 운영 미숙으로 일부 지연되는 것은 시민 안전에 큰 허점을 만드는 것이라며 2026년 사업 재발 방지 대책과 입찰 방식 개선 방안을 명확히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약 13억원의 예산이 편성된 화재저감 소방안전대책 추진 사업에 대해서는 전통시장에 도입된 화재순찰로봇(‘이롭’) 2026년 4대 운영 계획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현재 로봇 외부에 서울시 홍보 문구만 강조되어 있고, 소방 기능 표기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제천시의 경우 같은 로봇에 ‘OO경찰서’ 문구를 명확히 표기해 시민이 로봇의 역할을 바로 인식할 수 있다며 서울소방 로봇에도 ‘119·서울소방’ 등의 표기 강화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소방재난본부장은 한강 자살방지 CCTV 사업 추진 시 입찰 준비가 면밀하지 못했다며 업체 간 이해관계 조율을 통해 정상화되도록 노력하고 전통시장 화재순찰로봇은 시민들이 역할을 분명히 알 수 있도록 표식을 분명히 하겠다고 답변했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서울시의회  남창진  한강안전시스템운영  서울소방재난본부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