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현대차·기아, 안성에 1.2조 투자해 대규모 배터리 캠퍼스 구축…전동화 경쟁력 내재화 속도

2026년 말 준공 목표…차량 조건 반영한 고난도 실증 기반으로 차세대 EV·EREV 배터리 직접 개발 체계 강화

  •  

cnbnews 김한준⁄ 2025.11.28 11:09:14

현대차·기아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 조감도. 사진=현대차·기아
 

현대자동차·기아가 차세대 전동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기도 안성에 그룹 최초의 대규모 배터리 특화 연구개발 거점을 구축한다. 두 회사는 28일 안성 제5일반산업단지에서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 상량식을 열고 본격적인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에 나섰다.

배터리 캠퍼스는 약 19만7000제곱미터 부지, 연면적 약 11만1000제곱미터 규모로 조성된다. 현대차·기아는 총 1조2000억원을 투입해 2026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125조원 규모 전동화 투자 계획의 일환이다. 앞서 두 회사는 수소연료전지 공장, 전기차 전용 공장에 이어 이번 캠퍼스를 세 번째 대규모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다.

캠퍼스는 차량 요구 조건을 정밀 반영한 고난도 실증 환경에서 셀 설계, 공정, 통합 제어 등 배터리 핵심 기술을 직접 개발·검증하는 기능을 갖춘다. 전극·조립·활성화 등 셀 제조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첨단 설비를 갖추고, 소재부터 셀·모듈·팩·차량에 이르는 전 주기 관점에서 혁신 기술의 안전성과 품질을 반복적으로 점검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 전기차 및 EREV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연구 범위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캠퍼스가 K-배터리 생태계 확장과 핵심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완성차 관점에서의 배터리 기술 내재화는 글로벌 전동화 경쟁 심화 속에서 국가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상량식에는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전략기획실장 김동욱 부사장,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부사장 등 그룹 관계자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윤종군 국회의원, 산업통상자원부 최우혁 첨단산업정책관 등 정부·지자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캠퍼스가 배터리 산업 전반의 협력 강화와 혁신 기술 고도화를 촉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전동화 시대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체계적 기술 내재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화경제 김한준 기자>

관련태그
현대차  기아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  EREV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