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정승조 재테크 칼럼]연간소득 4천만원 이상이면 건강보험료 따로 내야

4천만원 초과 시 전문가에게 문의할 필요 있어

  •  

cnbnews 제282호 박현준⁄ 2012.07.08 13:23:19

공직생활 35년을 하다가 재작년 은퇴한 나연금 씨는 얼마 전 뉴스를 보고 걱정에 빠졌다. 6월 18일 사업·금융소득 외 연간소득 4000만 원 초과 시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박탈한다는 뉴스가 나왔기 때문이다. 나 씨와 배우자는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 없이 공무원연금 등의 연금으로만 생활하고 있다. 현재 자녀의 직장 피부양자로 돼 있어 건강보험에 따로 가입해 있지 않다. 이번에 발표된 ‘사업·금융소득 외 연간소득 4000만 원’이 어느 소득까지를 포함하는지 나 씨는 궁금하다. 건강보험 피부양자란? 우선 건강보험 피부양자에 대해 알아보자. 건강보험은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직장가입자가 돼 급여의 일정액을 보험료로 납부(근로소득 외 종합소득이 7200만 원 초과자 소득반영 예정)한다. 그 밖의 경우에는 지역가입자가 돼 재산, 소득, 경제활동 등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산정된다. 단 사업소득이 없다면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돼 보험료를 납부 안 해도 된다. 현재 금융소득 4천만 원 초과자,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초과자는 피부양자로 들어갈 수 없는데, 앞으로는 ‘사업·금융소득 외 연간소득 4천만 원 초과자’도 그 제외 대상에 포함돼 피부양자가 될 수 없게 한다는 내용이다. 이 같은 내용을 문답식으로 알아보자. - 사업·금융소득 외 연간소득 4000만 원은 어느 소득까지를 말하나? “소득세법상 연금소득 및 기타소득이 이에 해당된다. 다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을 수령하는 경우 연금수령액(원천징수 하기 전 금액)이 기준이다(소득세법상 비과세 포함). 그리고 연금소득공제는 적용하지 않는다.”

- 나연금 씨는 피부양자가 될 수 있을까?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나 씨가 받고 있는 연금은 표와 같고 다른 소득은 없다. 나 씨의 경우 연간 4260만 원의 연금을 받고 있어 피부양 자격 박탈 대상자가 될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다. 우선 소득세법상 금융소득(이자소득, 배당소득)과 연금소득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금융소득이 4000만 원을 초과하는지, 연금소득이 4000만 원을 초과하는지는 각각 판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사례에서 개인연금저축(②), 즉시연금(④)은 이자소득세 과세대상으로 비과세 요건이 충족되면 비과세되고, 과세가 되더라도 다른 이자, 배당소득과 합쳐서 4000만 원을 초과하는지 따로 판단할 사항이다. 따라서 ‘사업·금융소득 외 연간소득 4000만 원’과는 관련이 없다. 즉 공무원연금(①), 연금저축(③)의 합계액이 연간 3660만원이기 때문에 나 씨의 경우 피부양자로 남을 수 있다. 다만 그 외에 국민연금, 퇴직연금이나 기타소득 등을 포함하여 4000만 원을 초과하거나, 금융소득이 4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재산세 과세표준이 9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돼 지역가입자로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4000만 원 판단 시 원천징수 되기 전 금액을 보고 판단하기 때문에 본인이 수령한 금액이 아니라 원천징수 되기 전 금액을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다.” - 기타소득은 무엇을 말하는가? “금융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등에 해당하지 않는 소득으로서 일시적·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소득으로, 고용 관계없이 다수인에게 강연을 하고 받는 강연료, 원고료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연금액이 4000만 원 이하일지라도 일시적으로 발생한 기타소득을 포함해 4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피부양자에서 박탈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연금저축 연금액의 경우 4000만 원 판단에 제외될 수도 있는지…. “나 씨의 경우 공무원연금과 연금저축을 모두 합쳐도 연간 40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괜찮다. 그러나 공무원연금 등은 연간 4000만 원 이하이지만 연금저축 연금액을 포함하면 4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문가에게 문의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과세되는 공무원연금과 연금저축의 종합과세(또는 분리과세) 여부에 따라 포함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막연한 걱정보다는 전문가에 문의해 의견을 들을 필요가 있다.” - 정승조 농협PB센터 세무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