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아리랑의 실체, '길 위의 노래 고개의 소리'로 재조명

아리랑뿐만 아니라 여타 무형유산 전시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전달

  •  

cnbnews 제319호 왕진오⁄ 2013.03.27 22:35:15

슬플 때나 기쁠 때나, 옛날이나 지금이나, 국내에서나 해외에서나 아리랑은 항상 한국인들과 함께 한다. 과연 아리랑의 실체가 무엇이기에 한국인들의 삶과 역사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전시로 꾸민 '길 위의 노래 고개의 소리: 아리랑'이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과 문경시 옛길박물관(시장 고윤환)의 공동 기획으로 문경새재에 위치한 옛길 박물관에서 4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우리 문화의 대표적 상징이자 지난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 된 후 국가기관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아리랑 전시라는 점에서 향후 아리랑뿐만 아니라 여타 무형유산 전시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전달한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이번전시는 아리랑이 실제 삶 속에서 활용되는 현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료와 매체를 통해 아리랑을 접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1916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러시아군에 징집된 한국인들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김 그레고리, 안 스테판, 유 니콜라이 등이었다. 독일군의 포로가 된 이들은 당시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인 알베르트 되겐(DOEGN, 1877-1967)박사가 주도하는 각 민족의 언어·음악 자료의 조사에 응하게 된다. 당시 조사된 자료들은 독일 훔불트대학교 부속 베를린 라우트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는 베를린 라우트 아카이브에서 대여한 SP음반과 이들이 부른 아리랑 음원을 감상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독일 라우트 아카이브의 소장인 델라니 교수와 담당사서가 직접 개막식에 참석하며, 음원자료의 활용과 관련하여 문경시와 업무협약(MOU)도 체결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김 그레고리와 유 니콜라이가 부른 아리랑은 현재 우리가 친숙하게 들어왔던 아리랑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흥미를 더해준다. 아리랑의 후렴이 '아라릉 아라릉 아라리요/ 아리랑 철철철 배 떠나간다', '아라랑 아라랑 아라리요/아리랑 띄어라 노다가자'이다. 이 아리랑은 1896년 H.B 헐버트에 채보되어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려 있는 아리랑과 일치하는 후렴구를 보여주고 있다. 서양악보로 처음 채보된 아리랑은 'The korean Repository'(1896)에 실려 있는 헐버트의 아리랑이다. 이 아리랑에는 '문경새재 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나간다'라느 사설이 들어있어 문경새재아리랑과의 친연성이 자주 언급되곤 한다. 이를 기점으로 비숍여사의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에도 이 아리랑이 그대로 인용되는데 1898년 뉴욕과 런던에서 각각 출판된 책들이 전시된다. 소설 '대지'의 작가로 이름난 펄벅여사는 한국을 배경으로 하는 '흔들리는 갈대'(1963)라는 제목의 소설을 발표한다. 이 소설은 당시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는데, 이 책의 표지가 '아리랑'으로 장식되어 있다. 아리랑은 누가 언제 어디서 부르기 시작했는지 알 수 없다. 아리랑, 아르렁, 아로롱, 어르렁, 아라리, 쓰리랑 등 아리랑의 어원과 유래도 많다. 구비(口碑)로 전승되어 온 아리랑의 특징 때문이다. 그러나 매천야록과 한양가에는 왕이 즐겼던 노래로 아리랑이 등장하고, 나운규에 의해 영화 아리랑이 꽃을 피웠다. 그리고 님 웨일즈와 김산에 의해 ‘Song of Arirang’이 메아리치며, 광복군 아리랑으로 이어진다. 아리랑은 국가(國歌)에 비견되기도 하며, 수많은 가수들에 의해 대중가요로 재탄생된다. 이 과정을 유물과 자료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아리랑은 문학·음악 등 예술작품 전반으로 재생산되고, 학용품과 생활용품, 담배와 성냥으로도 우리의 기억을 이끈다. 팔도강산 방방곡곡에서 아리랑은 불려지고 한국인이 살고 있는 그 어느 곳에서나 아리랑이 노래되는 모습이 전시된다. 아리랑은 길 위의 노래이고 고개의 소리이다. 길과 고개는 화합과 소통의 창구다. 화합의 길이자 소통의 고개 문경새재에서 열리는 아리랑 공동기획전은 아리랑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할 것으로 보인다. 왕진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