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실이 KAI(한국항공우주산업) 강구영 사장을 명예훼손죄, 업무방해죄, 위증교사죄, 업무상 배임죄 혐의로 고발한 데 대해 KAI 측이 “고발 내용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는 반박 입장을 내놨다.
앞서 박선원 의원은 지난 17일 “강구영 사장이 2022년 9월 부임 후, 스마트플랫폼 사업을 부당 중단하고, 전·현직 임직원들을 허위사실로 고발해 명예를 훼손했으며, 폴란드 FA-50 수출 선수금 10억 달러를 부실 관리해 600억원 이상의 손실을 초래했다”고 고발 입장을 내왔다.
이에 18일 KAI 측은 “강구영 사장이 스마트플랫폼 사업 관련 허위사실 유포, 사업 중단으로 국고와 회사 자산 손실, 주요 임원 부당 해고 및 위증교사 시도, 증거 조작을 했다는 등의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며 지적된 내용을 하나하나 반박했다.
먼저, 스마트플랫폼 사업은 강구영 사장이 아닌 2021년 말 전임 사장의 지시로 특별 감사가 진행됐고, 스마트플랫폼 관련 임직원의 이사회에 대한 허위 보고가 확인됐다는 것. 감사위원회는 밀착 관리과제로 진행하도록 지시했고, KAI는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23.5월 해당 임원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또, 실태 조사 결과에 따라 2022년 10월경 시스노바 사에 부실 과제에 대한 완수 이행을 요청했으나 이행하지 않은 채 철수했으며, 이후 시스노바는 2023 3월 KAI에 용역비 청구 소송을 제기해 KAI는 같은 해 12월 민사소송 반소 및 감정을 신청했다. 2024년 12월 법원의 공식 감정 결과, 시스노바 사가 참여한 사업은 투입된 금액 대비 21.49%만 이행되어 손해 규모가 100억원이 아닌 379억원으로 확인됐으며, KAI와 시스노바는 현재 민/형사 및 공정위 등의 다툼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임원 부당 해고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해당 인원은 2022년 말 임원 정기인사 시 퇴임했으며, 퇴임 직후 업무 전문성을 감안하여 2023 1월 자문역으로 위촉됐으나, 2023년 5월 스마트플랫폼 사업에 대한 업무상 관리책임 등이 확인돼 회사 관련 기준에 의거 정당하게 계약 해지됐다는 설명이다.
강구영 사장이 폴란드 FA-50 수출 선수금 10억 달러를 부실 관리해 600억원 이상 손실을 초래했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폴란드 선수금 9.96억 달러 입금분은 당시 외환시장 움직임 및 당사 내부 운용 방안에 따라 대응했으며, 2022년 KAI 외환 손실은 총 222억원이었는데, 당시 환율이 급락하는 상황이어서 폴란드 수출로 선수금을 보유하고 있던 타 방산 기업들도 2021년 대비 2022년의 외환 손익이 악화됐고, KAI 대비 더 큰 환차손이 발생한 사례도 있다는 것.
이후 지속적인 외환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통해 환율 반등 시점에 매각해 2023년 외환 손익을 80억원 순이익으로 전환했으며, 최근 5년간의 외환 손익 범위를 고려하면 외환 변동 폭이 축소되는 등 안정적인 관리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구영 사장이 비전문가 중심 조직 개편과 KF-21 설계도 유출 사건 등으로 경영을 파행으로 몰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반론했다.
KAI는 “강구영 사장 취임 전인 2019~2021년 기간 동안 KAI는 매출 하락 및 영업이익의 급감과 함께 전례 없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긴축과 조직 슬림화가 필요했던 상황으로, 강구영 사장 취임 이후 고효율 조직으로 쇄신하기 위해 조직 개편 T/F를 출범해 인사를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KF-21 설계도면 유출 의혹과 관련해서도 “2024년 1월 KAI 보안팀에서 자체 적발하고 정부 기관에 자진 신고하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사항으로 현재까지 설계도면 유출 사실은 확인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