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국책 과학기술 프로젝트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가 대전 대덕단지를 중심으로 조성된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16일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가 이날 오전 9시부터 회의를 열어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 내 신동·둔곡 지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최종 평가점수는 신동·둔곡 지구가 75.01점으로 2위 대구 테크노폴리스지구(64.99점)를 10점 이상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주(첨단 3지구) 64.58점 △포항(융합기술지구) 62.75점 △부산(동남권 원자력 산단지구·장안택지지구) 등의 순이었다. 대전은 특히 평가지표 가운데 '연구기반 구축·집적도(연구개발 투자 정도, 연구인력 확보 정도, 연구 시설·장비 확보 정도,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우수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거점지구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 거점지구를 산업·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의 경우 거점지구 후보지로 거론되지 않았거나, 후보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탈락한 시·군이라도 제한 없이 선정될 수 있다. 거점지구는 학·연·산 연계 인력양성 및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 등을 통해 거점지구의 연구성과가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완성한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거점지구인 대덕단지와 광주, 경북권(대구·울산 포함)에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거점지구에서 탈락한 지역들을 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덕단지의 경우 카이스트(KAIST)와 대덕단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광주의 경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북권에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중심이 되며, 각 지역 연구단들은 클러스터 형태로 이른바 '연합 캠퍼스'를 구성한다. 세부 지원계획안에 따르면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 경북권의 DUP(DGIST·UNIST·POSTECH) 캠퍼스에 약 10개, 광주 GIST에 약 5개가 배정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는 지난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5천억원보다 1조7천억원 이상 늘어난 5조2천억원으로 책정됐다. 이 가운데 2조3천억원은 대전을 비롯한 거점·기능지구의 기초과학연구원·KAIST연합캠퍼스·중이온가속기 등에 지원된다. 경북권 DUP캠퍼스와 광주 GIST 캠퍼스에는 각각 1조5천억원, 6천억원이 투입된다. 이밖에 전국 대학 및 출연연 등에 설치될 개별 연구단에도 8천억원이 배정됐다. 정부는 과학벨트 사업이 세계 우수 과학기술자들을 우리나라에 모아 창조적 지식과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3천여개 이상의 이공계 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과학벨트위원회 회의에 앞서 불거진 '대전 입지 사전 확정설'로 절차상 정당성 논란과 함께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회는 지난 15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강운태 광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명을 내고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짜맞추기식의 정략적 심사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선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라"고 주장했다. 경북(G)ㆍ울산(U)ㆍ대구(D) 3개 시도 범시도민 과학벨트 유치추진위도 같은 날 경북도청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과학벨트 최종입지 선정 발표를 앞두고 선정기준의 불공정성뿐 아니라 분산배치설이 제기되는 등 정치권 개입이 드러나고 있다"며 "규정과 절차에 따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선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