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신용카드사 얌체 상술에 우량고객·서민고객 양극화 극심

제 멋대로 부가서비스 줄이고 취급수수료는 인상

  •  

cnbnews 제237호 성승제⁄ 2011.08.29 11:07:50

신용카드사들이 연회비와 각종 수수료율을 높이면서 고객 부가서비스는 잇따라 축소, 폐지해 눈총을 사고 있다. 고객에게 가입을 권유할 때는 수많은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유혹하지만 막상 가입하고 나면 슬그머니 서비스를 축소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카드사들이 VIP고객들에게는 오히려 할인 서비스를 늘리고 있어 할인 서비스의 불편한 이익은 고스란히 서민들에게 전가되는 방식이다. 이처럼 카드사들이 부가서비스 혜택을 줄이는 것은 정부의 수수료 압박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다며 수차례 인하를 요구했고 카드사들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서서히 동참해 왔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당장 수익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어 고객들의 부가서비스라도 최대한 축소해 억제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전업계 카드사들의 시장을 보면 과연 수수료 인하에 따른 수익성 하락이 진짜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이미 수년전부터 정부가 카드규제 억제정책을 내놓았지만 KB국민카드를 시작으로 은행계 카드사들의 분사가 잇따르고 있고 우리금융지주와 농협도 올해 말이나 내년초까지 분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수익성이 악화된다면 굳이 수백억원의 비용과 시스템을 개발해 카드분사에 나서겠느냐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말이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속에서는 엄청난 이익을 챙기면서도 외부에서는 규제가 강해지면 힘들다고 하는 하소연 하는 전형적인 밥그릇 챙기기 전략”이라며 “결국 부가서비스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고객들만 피해자가 되는 꼴이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만약 정부 규제로 카드사의 수수료가 0.01%가 축소된다면 카드사들은 약 3~4개의 부가서비스 혜택을 없애거나 할부이자 및 현금서비스 등의 이자를 올린다”면서 “이미 작년말부터 없어진 부가서비스만 해도 상당한데 내년에 또 축소할 방침이다. 카드사들의 얌체 마케팅 횡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내년부터 서비스 축소 본격화 우량고객은 혜택 듬뿍 카드사들의 부가서비스 혜택은 일단 내년부터 집중될 전망이다. 신한카드는 내년 3월부터 놀이동산(에버랜드·롯데월드·서울랜드)과 음식점, 영화 할인서비스 혜택의 장벽을 전월 실적 20만원 이상에서 30만원 이상으로 높인다. 현대카드도 내년 2월부터 연회비가 아예 없거나(현대카드C포인트) 1만원 이하(현대카드S·여우카드)인 카드를 대상으로 롯데월드 자유이용권 50%할인 혜택을 폐지한다. 롯데카드 역시 롯데월드 무료입장 서비스를 내년 2월부터 없애기로 했다. 하나SK카드도 12월부터 항공 마일리지 적립 때 무이자 할부 사용금액은 제외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와 카드론 이자율은 인상됐다. 외환카드는 최근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율을 종전 0.5%에서 0.55%로 0.05% 인상했다. 현금서비스로 100만원을 받으면 기존에는 5000원의 취급수수료가 부과됐지만 이젠 5500원을 부담해야 한다. 삼성카드는 은행 영업시간 기준 현금지급기 서비스 건당 이용수수료를 600원에서 800원으로 33%나 올렸다. 현대카드도 지난해 12월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율을 0.5%에서 0.59%로 인상한 데 이어 최근에는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수수료율을 올렸다. 롯데카드 등 다른 전업 카드사와 대구은행·부산은행 등 은행계 카드사들은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율을 0.05~0.1% 수준에서 상향 조정했다. 국민은행과 대구·전북·경남 등 지방은행들도 전업계 카드사에 부과하는 수수료를 35~40% 인상 했다. 전업계 신용카드사들은 고객 결제계좌에서 결제대금이 인출될 시 인출건별로 은행에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다. 또 지방은행들은 기존에 없던 ‘자동이체 변경 수수료’를 신설, 건당 15원씩 전업계 신용카드사들에 부과키로 결정했다. 신용카드사들은 또 자금조달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고객 결제대금 청구에 대한 기준으로 삼는 신용카드 이용기간인 신용공여 기간과 한도도 줄이고 있다. BC카드 가맹 카드사들은 자사 고객에 대해 지난 5월부터 결제분에서 일시불 및 할부판매의 신용공여기한을 3일씩 줄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비씨 회원사인 우리은행이 자사 카드 고객의 신용공여기한을 기존 최장 47일에서 44일로 줄이고, 농협도 BC 가맹 농협카드에 대해 신용공여기간을 단축할 예정이다. 하나은행과 SC제일은행·한국씨티은행·기업은행·대구은행·부산은행·경남은행도 결제분부터 자사의 BC 가맹 신용카드에 대해 3일씩 일괄 신용공여기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삼성카드는 앞서 당초 최장 45일이던 신용공여기간을 신용판매에 대해 42일로 앞당겼다. 신한카드도 3일씩 해당 기간을 감축했다. 롯데카드는 신용판매 신용공여기간을 2일 줄였다. 이처럼 서민들의 부가서비스와 이자율에 대한 부담은 증가시키는데 반면 우량 고객에 대해서는 오히려 서비스를 대폭 늘렸다. KB국민카드는 올해 VVIP카드 태제(연회비 100만원)에 롯데호텔 객실 30% 등 할인서비스를 추가했고, 하나SK카드도 특급호텔 멤버십 가입과 고급 요트 대여 서비스 등을 넣어 VVIP카드 클럽원(연회비200만원)을 개편했다. 현대카드와 신한카드 역시 기존 플래티넘 카드의 할인 및 적립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처럼 얌체 상술이 가능한 것은 허술한 약관(표준약관 14조)도 한몫 거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행 규정상 카드사들은 신상품 출시 후 1년이 지나면 부가서비스를 바꿀 수 있으며, 6개월 이전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관련 내용을 고지하기만 하면 된다. 이를 근거로 카드사들은 카드 출시 1년이 되는 시점에 맞춰 기다렸다는 듯이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있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잠재 고객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국민들은 카드를 이용하면서 본인도 모르게 양극화를 경험하고 있다”면서 “카드사들의 얌체 상술이 도를 넘어서면서 이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