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추석 때 무리한 움직임에 허리 삐끗…골절 주의보

단순한 요통으로 알고 방치하면 악화돼…적절한 치료 필요

  •  

cnbnews 제238호 김금영⁄ 2011.09.09 10:41:07

민족의 명절 추석은 온가족이 모이는 행복한 행사이기도 하지만 건강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할 때이다. 특히 어르신들이 자식들의 일을 거들면서 갑자기 무리하게 움직이고, 성묘를 갈 때 넘어지는 등 사고가 생길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지난해 추석 때 70대 할머니가 오랜만에 본 손자를 업어주다가 허리를 삐끗해서 병원을 방문했다. 할머니는 차례준비를 하는 자식들을 위해 손자를 돌보는 일을 자처하고 어린 손자를 업다가 갑자기 심한 허리 통증이 생겨 가까운 병원을 찾았다. 단순 엑스레이 촬영 후 허리를 삔 것 같다는 얘기를 듣고 물리치료, 약물치료를 일주일동안 했으나 잠깐 통증이 가실 뿐 다시 고통이 재발됐다. 이에 한의원 등에서 침, 부황, 보약 등도 시도해 봤으나 효과가 없어 척추전문센터가 있는 병원을 다시 찾게 되었다. 할머니의 전반적인 척추 진찰 결과 하부 흉추를 누를 때 통증이 더 악화되는 소견을 보이고 단순촬영을 한 결과로는 심하게 다친 곳이 분명하지 않아 MRI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결과 제12흉추 압박골절 소견이 보였고 이미 대증적 가료기간이 경과해 경피적 요추성형술을 시행했다. 시술 후 지금까지 할머니를 괴롭히던 묵직하고 쏘는 듯한 통증은 거의 가라앉았으며, 할머니는 퇴원 조치를 밟을 수 있었다. 경피적 요추성형술은 뚜렷한 원인이 없이 지속되는 요통환자, 단순사고에 의한 요추 염좌 후 지속되는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척추뼈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해당되는 신경 막 근처에 약물을 주입하여 직접적으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병원 측은 시술시간은 20분 정도로 짧으며 국소마취로 시술되고 대부분의 환자에게 있어서 시술 후 동통의 완화를 직접 느낄 수 있다고 밝혔다. 고령 특히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노인 환자의 경우 가벼운 사고 후 지속적인 요통을 호소할 수 있는데, 이때 단순엑스레이촬영 상 골절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더구나 허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면 허리 즉 요추부위만 단순촬영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 검사라서 증상은 비슷하지만 부위가 다른 하부 흉추의 손상을 간과하게 된다. 이런 경우 최근에는 특수 촬영기법을 통한 MRI 검사를 통해 압박손상된 척추의 부위와 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간단한 시술로써 압박골절로 인해 생기는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허리를 삐끗해서 단순한 요통인 줄 알고 오랜 시간 방치하다가는 결국 더 압박이 심해져 악화될 수 있다. 특히 고령환자의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증세가 나타날 시 가까운 전문병원에서 조기정밀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도움말: 장연규 신경외과장/근로복지공단 안산산재병원 척추전문센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