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이상주 작가의 ‘세종의 독서와 공부’ ]도대체 술을 어찌하랴?

세종, 대제학 윤회의 술버릇 고치려 노심초사 절주대책 마련

  •  

cnbnews 제362호 이상주 역사작가⁄ 2014.01.20 13:51:49

“신민(臣民)들이 술 때문에 덕을 잃는 일이 가끔 있는데 이를 고려의 풍조가 다 없어지지 않은 탓이다. 이는 매우 민망한 일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세종실록/15/10/28>

조선의 주신(酒神) 중 한 명이 세종 때의 학자 윤회다. 열 살의 어린 나이에 통감강목을 외운 그는 총명함과 민첩함으로 태종과 세종의 극진한 사랑을 받았다. 일처리가 공명하고 진실했던 그에 대해 태종은 “학문이 고금을 통달했다. 세상에 보기 드문 재주를 지녔다’고 평가했다. 훗날 문신의 최고 영예인 대제학에 오른 그는 세자의 스승인 빈객도 했다. 그는 천성이 술을 즐겼다. 술로 인해 실수를 했고, 태종과 세종은 꾸짖고 경고했다. 하지만 천성이 바뀌지는 않았다.

세종 2년 종묘 추향대제 때 병조참의였던 그는 책보사 직책을 맡았다. 책보사는 국왕과 왕후의 시호가 적힌 책 등을 신실에 올리는 임무다.  술에 취한 그는 의례에 벗어난 행동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종묘대제는 태조와 임금으로 추존된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영혼을 모시는 경건한 의식이다. 신생국 조선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만백성에게 효와 충을 설파하기 위한 최고의 국가대사였다.

세종은 난감한 상황에서  “윤회는 술에 약하다. 취중의 일로 벌하기는 어렵다. 그를 불러서 책하리라”고 시간을 번 뒤 다음 날  “그대는 총명하고 똑똑한 사람인데, 도에 넘치게 술 마시는 게 결점이다. 이제부터 과인과 상왕(태종)이 하사하는 술 이외에는 과음하지 말라”며 금주령을 내렸다.

윤회는 한동안 술을 자제했다. 그가 술 마시는 날은 상왕과 세종이 마련한 피로연 등이었다. 세종은 3년(1421년) 여름에 상왕을 모시고 송계원에서 매사냥을 했다. 돌아오는 길에  중량포에서 술자리를 베풀었다. 저녁까지 계속된 회식에서 몇 잔술을 한 윤회는 임금 앞에 나아가 즉석 시를 지었다. 절로 시가 나올 정도로 술이 반가웠던 것이다.

여름 밭두렁 산들바람에 보리 이삭은 길어지고
가을 들판에 빗물이 넘쳐, 벼꽃이 향기롭다
우리 임금 한 번 놀이로 삼농(三農)에 바라보니
시월 타작마당에 풍년 들리라

문학성과 재치가 돋보이는 윤회의 시에 상왕은 즐거운 얼굴이었다. 윤회는 술을 떼놓고는 흥이 나지 않았다. 대궐 연회에서는 술을 곧잘 입에 댔고, 구설수가 있으면 임금은 훈계를 했다.

하루는 세종이 베푼 주연에서 고주망태가 됐다. 다른 사람의 등에 업혀 나갔다. 임금은 다음날 그를 불러 “석잔 이상의 술은 절대 마시지 말라”고 당부했다. 아무리 주신이라 해도 어명은 어길 수 없다.

그는 묘안을 냈다. 잔이 아닌 사발로 마셨다. 취기는 더 오를 수밖에 없었다. 이런 그가 큰 사고를 쳤다. 세자에게 공부를 가르쳐야 할 빈객(賓客)인 그가 술에 취해 서연(書筵)에 참석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불경죄에 해당됐다. 사헌부에서는 세자를 공경하고 마음을 삼가는 뜻이 없다고 처벌을 강하게 건의했다. 세종은 다시 윤회에게 경고로 마무리했다.

술에 대해 절제력이 강했던 임금은 15년(1433년) 10월 28일 음주대책 교지를 내린다. 주자소에서 인쇄해 서울은 물론이고 지방에도 반포해 만백성이 술의 폐해와 바르게 마시는 법을 알게 했다. 백성들에게 음주 교육을 한 것이다. 교지에서는 음주의 목적과  현실 그리고 음주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 음주로 인해 폐망한 나라나 인물을 소개하고, 절주를 한 사례도 적었다. 또한 조선의 정책과 현실을 말한 뒤 지켜야 할 당부의 내용을 알렸다.

▲사진 = 박현준 기자


먼저, 음주의 취지다. 세종은 술을 조상의 영혼을 받들고 손님을 대접하고, 나이 많은 이를 부양하는 방편으로 설명했다. 둘째, 음주의 해독이다. 임금은 다음처럼 여러 안타까운 점을 열거했다. 곡식을 썩히고 재물을 허비하는 한편 마음과 의지를 손상시키고 위엄을 잃게 한다고 했다. 혹은 부모의 봉양을 버리고, 남녀의 분별을 문란하게 하는 폐해도 지적했다. 해독이 크면 나라와 집을 망하게 하고, 그렇지 않더라도 개인을 파멸시킨다고 경고했다.

셋째, 음주 피해 사례다. 상나라의 주왕과 주나라의 여왕은 술로 나라를 망친 예를 들었다. 전한의 진준은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술에 취해 살해된 점도 서술했다. 후한의 정충은 여러 장수들을 찾아다니며 술을 먹더니 창자가 썩어 죽은 사례를 들었고, 신라가 포석정에서 패하고, 백제가 낙화암에서 멸망한 것도 술 때문으로 해석했다. 고려의 말기에도 상하가 서로 술에 빠진 탓에 멸망한 것으로 풀이했다.

넷째, 음주를 극복한 사례다. 진나라 원제는 술 때문에 정사를 폐하는 일이 많았으나 왕도의 간언을 듣고 아예 술을 끊었음을 알렸다. 원나라 태종의 사례도 들었다. 그는 날마다 대신들과 함께 취하도록 마셨으나 야율초재의 말에 듣고 하루에 석 잔으로 제한했다는 것이다.

다섯째, 조선의 술 정책이다. 태종은 군중이 모여 음주하는 것을 금지시킨 제도를 설명했다.  임금도 역사의 실패를 거울삼고 태조와 태종이 이뤄 놓은 법을 준수해, 예로써 보이고 법으로써 규찰하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러나 신민(臣民)들이 술 때문에 덕을 잃는 일이 가끔 있는데 이를 고려의 풍조가 다 없어지지 않은 탓으로 해석했다. 또 이는 매우 민망한 일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임금은 마지막으로 백성들이 지켜야 할 내용을 다섯 가지로 정리해 널리 알렸다.

하나, 중앙과 지방의 대소 신민(大小臣民)들은 나의 간절한 생각을 본받고 과거 사람들의 실패를 귀감 삼으라.
하나, 업무에 지장이 될 정도는 술을 마시지 말라.
하나, 과음으로 몸을 병들게 하지 말라.
하나, 술을 수시로 마시는 병폐에서 벗어나 바른 예절을 지키게 하라.
하나. 술을 절제해 건전한 사회풍속을 마련하라.

세종의 술에 대한 시각은 금주였다. 술은 마시지 않는 게 좋은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제사와 손님 접대 등을 감안해 절주를 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생각했다.


글쓴이 이상주

서울시민대학에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을 강의하는 베스트셀러 작가다. 또 여러 단체에서 조선 명문가 독서 이야기,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듣는 세종의 공부법 등을 강의하고, CEO 책쓰기, 경영인 칼럼쓰기, 청소년 칼럼쓰기를 지도하고 있다. 조선왕실(전주이씨 대동종약원) 문화위원으로 지은 책은 ‘세종의 공부’, ‘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10대가 아프다’ 등이 있다. www.이상주글쓰기연구소.kr.

- 이상주 역사작가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