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발행인 칼럼] '김예령 기자 시비'에서 美기자로부터 "천재" 소리 듣는 한국 언론 또 확인

  •  

cnbnews 최영태 CNB뉴스 발행인⁄ 2019.01.11 12:03:22

최영태 CNB뉴스 발행인

어제부터 오늘까지 김예령 기자가 검색어 상단에 올라가 있다. 그래서 김 기자의 질문 장면과 대통령의 답변 동영상을 봤다. 이게 도대체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

 

수준 낮은 질문이었고(팩트를 기반으로 한 날카로운 질문이 아닌, 그저 “자신감의 근거는 뭐냐”라는 감정을 묻는 질문이었기에), 대통령으로서는 “여태 얘기했는데 그걸 또 얘기하란 말이냐”는 상식적인 답변을 한 순간이었다.

 

청와대 기자회견에서 항상 보는 그 장면이 한 번 더 보여졌을 뿐인데…. (사진  jtbc 화면 캡처)


“자세가 불량하다”고 김 기자의 예의범절을 공격하는 목소리들이 거북하지만, 또 다른 편에서 “애국 투사가 탄생했다”고 칭찬하는 것도 꼴불견이기는 마찬가지다.

jtbc 손석희 앵커가 “우리 사회가 권위주의에서 벗어난 증거”라고 평했다고 해서 또 SNS 등에서는 손 앵커를 비난하는 발언들이 줄을 이으니, 이것도 꼴불견이다. 필자가 보기엔 손 앵커가 부분적이지만, 제대로 진단한 것 같은데….

 

한국의 수준을 처음 알았다는 듯 왜 난리들인지…


필자는 이런 말을 하고 싶다. “우리나라 수준이 항상 그랬는데, 왜 새삼스럽게들 난리냐?”고.

직전 대통령 시절, 시나리오 식으로 질문 순서와 답변까지 다 만들어 놓은 뒤 '드라마 찍듯' 청와대 기자회견을 하고, 그런 드라마 찍기에 기자들이 동의했던 것 자체가 바로 한국 정치판과 언론의 수준을 잘 보여준다.

 

지금도 수준 낮기는 마찬가지다. 백악관 브리핑에서 미국 대통령들과 미국 언론의 ‘고참’ 기자들이 팩트를 근거로 주고받는 공방전과 비교하자면, 한국 기자들 대부분의 질문은 그저 수준 이하일 뿐이다. 그게 한국의 풍경이다.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하는 거다"라고 한국 기자들의 실력을 비판한 미디어오늘의 인터넷 기사 화면. 

 

필자는 20대 때 예전에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다. 경제부 기자로 일하면서 미국에 출장을 갔을 때였다. 행사를 앞두고 기자들끼리 모여 대화를 나누는데, 한국에서 간 기자들은 대개 20~30대였고, 미국 기자들은 50대 이상의 중년들이었다. 그래서 그들이 필자의 나이를 물어봤다. “20대 후반”이라고 얘기하니, 그 ‘할아버지 기자’가 “당신은 천재가 분명하다”고 단정했다.

갑자기 천재라 높여주니 우쭐해지기는 기분이기도 했지만 도대체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인지라 놀리는 건 아닌가 싶어서 “왜 나를 천재라고 규정하냐?”고 반문했다. 그랬더니 그 할아버지 기자 왈 “미국 메이저 신문에서 경제 기자를 하려면, 나처럼 다 나이가 들어야 한다. 왜냐면 미국의 모든 기자는 지방지의 경찰 기자부터 밑바닥을 훑는 경험을 거쳐 유능함을 인정받아야 한 계단 한 계단 상급지로 스카우트 당하면서 나이 들어서야 유력 중앙지의 경제 기자로 기사를 쓸 수 있는데, 당신은 20대 후반에 한국 유력지의 경제부 기자라니 천재가 아니고서야 불가능한 일 아니냐”고 했다.

 

이런 진단에다가 대고 “한국에서는 다 20대부터 경제부 기자를 한다”고 대답해주는 게 순서였겠지만 그럴 수는 없었다. 한국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 같아서였다.

 

우리의 언론 시스템은 정상인지부터 점검해야


백악관 출입기자도 마찬가지다. 백악관 기자회견을 한 번 봐라. 젊은 기자도 없지 않아 있지만 대개는 할아버지-할머니 기자부터 시작해 나이 지긋한 중년이 대부분이다. 그 정도 연차가 되기 전에는 백악관이라는 최고 출입처에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기자로서 ‘정치에 대한 도사’가 되어야 비로서 백악관 출입이 가능하기에, 대통령과 기자가 만나는 브리핑 시간에는 날카로운 팩트 기반 질문이 불꽃을 튕기게 돼 있는 것이다.

반면 한국 언론 현실에선, 언론사 사정에 따라 ‘정치에 도사가 아닌 기자’도 청와대 출입 기자로 배정받기도 한다. 미국의 기자 시스템은 유능함과 전문성을 꾸준히 인정 받아야 백악관 출입이라는 영광을 누릴 수 있지만, 한국의 언론사는 ‘각자도생’ 식으로 운영되기에 20대 약관에 좋은 언론사를 시험 잘 치러 들어가고, 또 사내에서만 인정받으면 일약 청와대 출입기자라는 대단한 자리에 입성하는 ‘천재적인 성취(미국 기자가 보기에)’를 이룰 수도 있다.

 

백악관 출입기자를 40년 넘게 한 헬렌 토마스 기자(왼쪽)가 89살 생일을 맞아 오바마 전 대통령의 축하를 받고 있다. 배경의 기자들 모습을 보면 한국 청와대 출입기자들보다 대체적으로 연배가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 (사진 = 위키피디아) 
토마스 헬렌 기자가 1976년 포드 대통령을 취재하는 모습. (사진 = 위키피디아)

모두 실력의 문제다. 실력을 입증해야만 대통령 또는 총리-수상이, 그리고 그들을 상대하는 기자가 될 수 있는 나라들이 있고, 실력 입증과는 상관없이 언론의 장난질에 힘입어 대통령이 될 수 있고 또 그런 대통령을 상대하는 기자들도 객관적인 실력 입증과 상관없이 사내에서만 잘보이면 청와대 출입기자가 될 수 있는 나라가 한국이다.

 

김예령 기자의 예의없음을 한탄하기 전에,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지금처럼 수준 낮아도 되는지, 언론-기자의 한심함(오바마 대통령처럼 말빨 좋을 것 같은 사람에게는 질문도 못하는. 사실 아는 게 있어야 질문도 할 수 있으니)을 그대로 방치해도 되는지가 더 고민거리가 돼야 할 것 같은데, 한국의 수준은 또 그냥 김예령 기자를 비난하거나 찬양하거나 하는 감정 수준으로 빠지니, 이 또한 한국의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질문에 답 있다"는데…

 

흔히 기자에게 “왜 질문을 못 하냐?”고 추궁하지만, 질문이 그리 쉬운가? “질문에 답 있다”라는 말 이 있다. 질문을 어떻게 구성하냐에 따라서 답이 달라진다는 소리다. 예전에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왔을 때 “제발 한국 기자들이 질문을 해달라”고 부탁했어도 한국 기자들은 입 하나 뻥끗 못하고 결국 중국 기자가 질문을 했듯, 실력 없는 사람이 선뜻 질문을 하기란 쉽지 않다.

오바마의 부탁을 받고 한국 기자가 ‘아무 질문이라도 해야겠다’고 결심한 끝에 “당신 이름이 뭐요?”라든지 “요즘 미국 경제는 잘 나가요?”라는 저차원의 질문을 했다면 오히려 더 창피했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실력 없는 한국 기자들은 ‘입 닥치면 중간은 간다’는 만고의 진리를 잘 따라가고 있을 뿐이다. 우리의 실력과 시스템이 참 창피할 따름이다.

관련태그
CNB  씨앤비  시앤비  CNB뉴스  씨앤비뉴스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