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저널=왕진오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이자 전기 발상지인 ‘전기등소(電氣燈所)’의 실체가 128년 만에 드러났다. 이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가 지난해부터 시행한 경복궁 흥복전(興福殿) 권역 영훈당(永薰堂) 터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영훈당은 내각회의와 경연, 외국 공사 접견 등을 위한 왕의 편전(便殿,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전각)으로 사용되던 흥복전의 부속 전각이다. 고종 연간에 건립되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17년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을 중건하기 위하여 경복궁 내 여러 전각을 헐어낼 때 흥복전 등과 함께 철거됐다.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원료인 석탄을 보관하던 탄고(炭庫)와 발전소 터 등 1887년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졌던 전기등소 유구가 확인됐다. 아울러 아크등(arc lamp)에 사용됐던 탄소봉, 연대(1870년)가 새겨진 유리 절연체 등 전기 관련 유물도 출토됐다.
조선 왕실은 미국의 신문물을 시찰하고 온 보빙사(報聘使, 1883년 최초로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의 건의에 따라 1884년 에디슨 전기회사와 전등 설비를 위한 계약을 맺고 1886년 11월 미국인 전등기사 매케이(McKay)를 초빙하여 1887년 1월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등소를 완공했다.
발전 규모는 16촉광(燭光, 1촉광은 양초 1개의 밝기)의 백열등 750개를 점등할 수 있는 설비로 알려져 있다.
최초 점등일은 1887년 1~3월경으로 추정되며, 건청궁 내 장안당(長安堂)과 곤녕합(坤寧閤)의 대청과 앞뜰, 향원정 주변의 등을 밝혔다. 당시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해 ‘물불’이라 불렸으며, 불안정한 발전 시스템 탓에 건달꾼처럼 제멋대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 하여 ‘건달불’이라 불렸다고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