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데스크 칼럼]박근혜 당선인이 MB의 뻔뻔한 ‘형님특사’ ‘측근특사’ 막아야

  •  

cnbnews 제309호 심원섭⁄ 2013.01.14 14:09:12

다음 달 25일 퇴임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임태희 전(前) 의원이 최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각종 비리혐의로 수감 중인 이 대통령 측근이 특별사면 문제와 관련해 “그런 대화합 조치를 긍정적으로 볼 측면이 있다.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어떤 형태로든 의견을 주고받지 않을까 싶다”며 “과거 ‘새 임금이 나오면 옥문(獄門)을 열어준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주장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기다렸다는 듯이 종교계, 경제계, 정치권 등 각계의 요청이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면서 사면권 행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예전에는 이런 얘기들이 나오면 청와대측은 으레 발뺌을 하곤 했던 종전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게 “누군 되고, 안 되고 하는 단계가 아니다”라면서 사실관계를 인정하고 나선 모양새를 보이면서 대놓고 여론 떠보기에 나서고 있다. 심지어 이 대통령이 다가오는 설을 전후해 임기 중 마지막 사면을 검토하고 있다고 공공연히 얘기하면서 여기에는 이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을 비롯한 ‘멘토’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자신의 오랜 친구였던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 대통령 처사촌 김재홍씨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그 뻔뻔함에 아연할 따름이다. 이중 1심 재판이 진행 중인 이 전 부의장을 제외한 세 명은 지난해 2심 확정 후 대선을 앞두고 잇따라 대법원 상고를 포기하자 곧바로 특별사면설이 퍼졌다. 특별사면은 형(刑)이 확정된 사람에게만 가능하기 때문이며, 여기에 대통령 전 비서실장까지 나서 필요성을 거론하자 특별사면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통령이 자기 임기 중에 수감 중인 혈육이나 측근들을 자기 손으로 직접 사면한 경우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 그것도 정치적 범죄가 아니라 뇌물 등 전형적인 권력형 비리인데다 형기의 절반도 채우지 않은 인사들이다. 그러므로 형평성에 대한 최소한의 고려조차 하지 않은 채 ‘형님 특사’ ‘측근 특사’를 강행한다면 이 대통령은 국민적 저항과 반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여의도 정가의 대체적인 지적이다. 물론 사면권은 헌법상 부여된 대통령의 고유권한이지만, 임기 말에 ‘선심’ 쓰듯이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용산참사와 관련해 징역 4~5년을 선고받고 만 3년을 복역 중인 철거민들이나 정치적 주장을 펴다 실형 1년을 꼬박 살고 나온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에 대한 각계의 사면청원에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았었다. 그런 상황에서 자기 측근들을 풀어준다는 건 사면권의 취지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은 물론 인간적 도덕적으로도 용납할 수 없는 죄악이다. 본인 스스로도 임기 초반인 지난 2009년 6월29일 라디오 연설에서 “제 임기 중에 일어난 사회지도층의 권력형 부정과 불법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밝힌 대로 관용을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등 여러차례 약속한 것을 뒤집는 일이기도 하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여야 후보 공히 대통령의 특별사면 권한 자체를 내려놓겠다고 경쟁하듯 약속한 바 있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은 “대통령의 사면권도 분명하게 제한해 무분별하게 남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박 당선인이 자신의 임기 시작 전이라는 이유만으로 이 대통령의 ‘형님특사’ ‘측근특사’를 수수방관하는 건 당선인의 도리가 아니다. 박 당선인과 인수위는 법치 약속을 지킬 의지가 있다면 이 대통령의 부도덕한 측근 사면 시도에 대해 분명한 반대 의사를 밝혀 중단시켜야 한다는 많은 국민들의 바람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심원섭 정치전문 대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